어둠을 뚫고 시가 내게로 왔다 - 소외된 영혼을 위한 해방의 노래, 라틴아메리카 문학 서가명강 시리즈 7
김현균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놀로세는 스페인어로 나는 모른다 이다

긴 직장 생활 마침의 보상으로 남미 여행을 계획 중에 친구의 선물로 받은 책이다. 최소한 남미의 문학 시의 기초라도 알고 가면 기쁨이 두배가 될 것이라는 마음으로 준 책이란다.

남미 모든 것이 생소하다 그냥 축구, 쿠바의 체게바라 정도만 알고 있는 듯한 미래의 신비세계이다

나는 남미를 너무나 모르고 있었구나는 뜻에서 제목을 놀로세라고 정했다.

이번 기회에 조금이나마 남미를 알게 되어서 정말 행복했다.

남미의 모든 국가가 정체성 등 전반적으로 혼란에 빠진 대륙이 아닌가 싶다. 

유럽의 침략 이후 원주민의 한과 유럽의 폭력성(신진 문화)의 한과 얼이 곳곳에서 표현되는 것 같다.

남미의 정체성은 무엇일까? 

유럽사람들의 일부이냐 남미만의 무엇이 있느냐 하는 것이다

이 책은 라틴 아메리카를 대표하는 시인 4명(파불로 네루다, 루벤 다리오, 세사르 바예호, 리카노르 파라)의 삶과 시에 대하여 쓴 내용이다.

내용을 풀어가는 과정도 배워야 할 큰 대목이다. 시와 삶 시대성을 결합하는 것도 쉽지 않은 것 같다.

유럽과 남미의 근원이 오가는 내용과 우리가 모르는 남미의 순수한 문학성 등 많은 내용들이 새롭다는 것이다. 너무나 모르고 한쪽의 문화에만 빠져 있는 나를 발견하고 더 많은 공부를 하고픈 마음이다

균형잡힌 삶과 순수함과 멋진 표현의 의미 등을 생각하게 한다. 무엇이 어려운가 이보다 더 자연스런 표현이 있을 수 있는가 

시가 주는 긴 생각과 함께 머리 속의 웃음 같은 느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