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에는 도깨비도 살고 삼신할미도 산다
노승대 지음 / 불광출판사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을수록 더 알아보고 싶은 사항이 많아진다. 가장 옆에 있는 무심코 보는 사찰의 물건 들이 다시 돌아보게 된다는 것이다. 과연 이것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왜 있을까 궁금증을 가지게 한다.

 한편으로 과연 종교란 무엇일까 원초적인 궁금증을 가지게 한다. 

 읽어 보고 하나 하나 의미를 두고 관찰하게 한다. 

과연 불교란 종교와 절과 꼭 맞는 것인가? 불교의 처음과 우리나라에서 본 지금는 똑 같은가 우리나라의 개념이 감안한 새로운 종교인가 등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결국 좀 넓게 생각해 보면 지구의 근본을 다루는 것인가 아니면 더 넓게 우주를 기본으로 하는가  아니면 내 주변의 한정하여야 하는가 등등 원초적인 것을 내 기준으로 생각해 보게 한다는 것이다. 과연 근본 즉 원칙이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한다.

모든 것들이 왜 그렇게 그곳에 그 모양으로 있을까를 생각하는 마음을 가지게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순간 생각나는 것들이 이유가 있다는 것이다. 

호축삼재용수오복 호랑이가 삼재를 물리친고 용은 오복은 가져 온다

삼신의 개념 산신(산) 칠성(하늘) 용왕(바다)

상징적들이 가지는 의미 

물고기 걸림없는 자유,가족화목, 자손창성

토끼 불사, 보시, 희생

사자 액운을 물리치는 상징동물

치우 전투의 신

모란 화왕

매화 군자의 꽃

난초 액운방지와 자손창성

국화 은국자

대나무 군자의 상징 등 

나열하지 많은 것들에 대한 의미를 다시 세심하게 보게 한다는 것이다.

특히 절에서 보는 문,사찰, 종,그림, 조각, 절터 등 모든 것들이 의미있음을 알고 좀 더 관찰하는 습관을 가지게 한다.

하나 하나 알면서 궁금해지고 마음이 편안해 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