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텔링 원론 - 옛이야기로 보는 진짜 스토리의 코드 대우휴먼사이언스 20
신동흔 지음 / 아카넷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토리텔링" 몇년전부터 너무도 익숙하게 듣는 용어입니다. 아마도 마케팅과 연결되면서 일반화가 된듯합니다. 이미 일반화가 되어 버린 스토리텔링이지만 스토리텔링은 무엇일까 생각하면 사실 막막합니다. 어떤걸 스토리텔링이라고 하지. 고심이 됩니다. 아마도 "의미를 주는 이야기"정도가 가장 간략한 설명입니다. <스토리텔링원론>은 "의미를 주는 이야기"에 진짜를 더해서 사람들에게 정말 느낄수있는 스토리텔링으로 설화, 즉 옛날이야기를 가지고 풀어갑니다.

저자 신동흔은 건국대학교 국문과 교수시고, 한국구비문학회회장이십니다. 평생을 설화를 반려자로 연구해오셨습니다. <스토리텔링원론>을 통해서 설화의 강력한 이야기의 파급력을 보여주셨습니다.

<스토리텔링원론>은 설화부터 시작을 합니다. 설화는 옛날 옛적에 ~하는 오랫동안 전해내려오는 이야기를 총칭한다고 합니다. 이런이야기는 좀다르죠. 호랑이가 말을 하고, 구렁이가 사람몸에서 태어나고 또 사람과 결혼도 하며 그리고는 첫날밤 잘생긴미남자로 변합니다. 온갖 허상과 공상 그리고 상상으로 설화는 풍년이 든 농촌처럼 이야기가 넘쳐납니다. 저자는 새로운 삶으로의 통로라고 합니다. 어쩌면 이러한 의외성이 이야기에 푹빠져들게 할겁니다. 그리고 잔인한 현실을 부드럽게 포장하는 방식이기도 하고요.

이러한 허상의 부드러움은 약간의 반전이 있습니다. 그림형제의 원작 백설공주이야기는 무척 잔혹하다는 겁니다. 헨젤과 그레텔도 알고보면 성인물이라는 놀라움을 느낍니다. 이를 동심보호로 왜곡하고 있음을 저자는 지적합니다. 그리스로마신화를 봐도 근친에 관한 이야기도 나오도 아이들이 받아들이듯 타당한 부분이 있습니다. 아마도 리얼한 전달을 나이별로 제한하는 미디어로 보면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만 오랫동안 설화로 많은 세대들이 즐겼던 증명된 스토리텔링을 요즘의 윤리를 가지고 제단하는것도 충분히 타당합니다.

설화의 구성은 인물 사건 배경 3요소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것만 가지고는 오랜동안 살아남는 레전드가 되지는 못합니다. 이를 살아움직이게 역사속에 생생하게 하는 요소는 화소, 영어로는 motif라고 합니다. 화소는 단어자체이고 그 안에 의미가 있어야 합니다. 이 화소를 사전으로 꾸민 학자가 스티스 톰슨이라고 하는데, 화학의 주기율표처럼 설화의 화소를 모아서 사전으로 만들었습니다. 이들 화소들의 연결로 이야기를 재미있게 구성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물론 화소들만 엮는다고 설화가 되는건 아니라고 합니다. 연결에도 법칙이 있다는 거죠. 이를 통사의미론이라합니다. 서사를 시간으로 바꿔주는 구조라고 할 수있는데, 많은 민담, 전설, 설화 등을 연구해서 얻은 결과일겁니다.

뜬금없지만, 스토리헬퍼라는 프로그램이 생각납니다. 1450편의 영화와 에니메이션을 분석해서 11만개의 DB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스토리메이커죠. 아마도 저자 신동흔이 보여준 화소사전이나 통사의미론을 가진 스토리엮는 노력이 원류로해서 컴퓨팅기술로 융합하여 현대의 스토리텔링하도록한겁니다. <스토리텔링원론>을 통해 느낀점은 오랫동안 살아내려온 스토리의 생명력과 그들이 만들어지는 구조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작가가 아니어도, 스토리텔링은 중요합니다. 전철내에서 물건을 파는 잡상인들도 자기들 나름의 스토리텔링이 있습니다. 물건만큼이나 어떤 스토리로 사람들이 자신의 물건을 가게할지 나름 연구들을 할겁니다. 그만큼 능력의 차이가 확벌어집니다. 이책을 통해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이 더욱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