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FastAPI 개발 입문
나카무라 쇼 지음, 박광수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웹어플리케이션을 직접만들려면 많은 인원과 비용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나온것이 웹프레임워크입니다. 이 웹프레임워크의 대장은 아무래도 파이썬에서는 Django겠죠. Flask도 있고요.  FastAPI는 최근에 개발되었죠. 그런데 앞의 두 프로그램보다 속도면에서 매우 장점이 있습니다.  간단한 개발과 유연성 그리고 커뮤니티까지 개발자의 능력이 조금떨어져도(?) 티가 덜나는 걸로 압니다. <파이썬 FastAPI개발입문>은  FastAPI를 실무적으로 앱을 만들고 배포도 어려움이 없게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이  널립보급되는데 도움이 되기바라는 마음도 크다고 합니다. ㅎㅎ 



저자는 나카무라쇼 susten 캐피탈 매니지먼스이사이며 공동설립자이십니다. 학력은 도쿄대학원 공하계연국과 항공우주공학전공을 하셨습니다. 그후 라쿠텐에서 대양한 컴퓨터프로그램을 개발하시고 드론연구도 하시면서 경력을 쌓으셨습니다. 




책은 3파트로 되어 있습니다.1부에서는  개발환경을 준비하고, 일종으 환경설정이죠. Docker를 설치하고 거시거 FastAPI가 작동되도록하는거죠.  2부는 본격적으로 FastAPI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합니다.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고 조작이되도록해야죠. 3부는 클라우드 플랫폼로 배포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AWS나 GCP로 배포하는 방법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처음에 Docker동작확인을 못해서 허둥거렸습니다만 ㅠㅠ  cmd를 열고 동작확인후부터는  여유롭게 전진한 느낌입니다. ㅎㅎDocker에서는 이미지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는 컨테이너를 만드는 템플릿입니다. 그리고 Poetry는 패키지관리툴입니다. 이러한 용어를 익숙해야  사용시 대응이 가능합니다. 이를 위해 예제를 보여주고 코드와 결과 그리고 메모를 통해 꼭 알아야 할 용어를 설명합니다.  특히 마지막으로 정리를 할때 편마다 맨뒤에 '정리'를 만들어서 그 편의 의미를 되새기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만들 앱은 ToDo앱입니다. 간단한 앱이죠. html로도 충분히 만들수도 있지만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디렉토리도 쉽게 생성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라우터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패킷을 전공하는 역할을 하죠. 소프트웨어에서도 동작과 경로를 다루며 파이썬이 동작타입이라 스키마의 요청과 응답이 정의되고 이를 swagger UI로 시각화합니다. 저도 해보니까 처음에는 조금이라도 계속적으로 완성해보는 것이 좋은 방법인듯합니다. 


이 작동방식을 클라우드에서 운영하는 거죠.  클라우드에서 이를 운영하는 이유는 번거러운 작업을 대신해주고 전체를 모니터링해주는 장점이 있다고 합니다. 이를 AWS와 GCP를 통해 배포합니다. 즉 운영합니다. GCP는 구글클라우드 플랫폼입니다. 여기에 설치하고 컨테이너를 구동하는 것까지 완성합니다. 




파이썬 언어를 배우고 나면 데이터분석을 배우고 그리고 머신러닝, 딥러닝으로 단계를 올려가는것이 일반적이죠. 문제는 이것은 업무처리를 쉽게 하는 것이지 서비스는 아닙니다. 그럼 서비스는 어떻게 하느냐 바로 FastAPI를 구축하고 클라우드에 SQL DB를 생성해서 콘테이너까지 실행하면 서비스가  완성이됩니다.  이정도면 간단하게 라도 처음부터 끝까지 다해본거라고 할수있죠. 물론 이것도 시작일 뿐입니다만. 그리고  파이썬의 기초개념들은 다 빠져있습니다. 그래서 책이 생각보다는 얇습니다. ㅠㅠ 기초 파이썬 공부는 하시고 도전하시면 어려움이 덜 할듯합니다.  누구나 취업전까지는 직접 프로젝트를 해보기 힘듭니다. Docker를 써보고 FastAPI로 요청과 응답이라는 웹어플리케이션의 개념을 형성한후 클라우드에 SQL를 형성하고 컨테이너를 실행하면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고급에 입문한거라고 봐도 되겠죠.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아 주관적인 리뷰를 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