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과 괴물 - 조선 유교사회의 그림자 문화동역학 라이브러리 24
강상순 지음 / 소명출판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귀신이 그 사회의 무의식이나 억압된 면을 보여주는 일종의 징후라는 관점이 이제는 낯설지 않은 것 같다. 저자가 유교국가 조선의 선비들이 기록한 귀신이야기를 분석한 책이다.  히스토리채널 보는 기분으로 편하게 볼 수 있다. 저자가 서문에서 밝힌 것처럼 논문들을 모아 놓은 책이라 같은 내용이 반복되는 경향이 있지만, 가독성이 좋아서 부담없이 글자를 훑어내릴 수 있다. 요새 이삼십대들은 "제사"라는 것을 어떻게 여길까?  아직  제사가 필수라는 이미지가 남아있을까? 이 글을 보면 사대부들이 지내던 제사를 일반 민중들에게 퍼뜨리기 위해 귀신이야기를 활용하는(죽은 귀신이 제사음식을 먹는다) 분석이 나온다. 귀신조차 이데올로기에 복무하는 것이다. 이 전략을 쓰면서 사대부들은 일종의 모순에 직면한다. 유학은 원래 쿨한 "고대의 유물론"에 가깝기 때문이다. 리(理)라는 추상적 원칙을 가지고 있지만, 사람이 죽으면 물질로 돌아간다는 유물론적의 관점을 가진 유교가 "종법주의"(이 책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다.)와 그 상징같은 제사를 일반 민중에게 퍼뜨리기 위해 기존의 귀신관념과 일종의 타협을 하는 것이다. 요새 "가부장제"하면 부정적인 이미지가 많이 덧칠해져 있고, "종법주의"란 말을 들으면 시대착오적인 느낌이 들지만 우리의 무의식에는 아직도 그 코드가 남아있지 않을까? 새삼 이 세상에 원래 그런 것은 없다는 푸코의 계보학적 느낌으로 제사를 바라보게 된다. 당연히 넘을 수 없는 규범 같은 건 없는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