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송일준의 나주 수첩 1~2 세트 - 전2권 - 송일준과 함께 하는 즐거운 나주 여행 ㅣ 송일준의 나주 수첩
송일준 지음 / 스타북스 / 2022년 2월
평점 :

'제주도 한 달 살기'에 이어 '송일준의 나주 수첩'으로 독자에게 나주라는 도시를 소개하고 있는 작가 송일준. 총2권으로 이루어졌다. 왜 나주라는 도시일까? 그는 영암에서 태어났지만 나주에서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을 보냈다. 우리 추억 속에는 분명 어린 시절 살았던 그곳을 그리워하고 돌아가려한다. 그런 의미에서 송일준은 분명 누구보다 나주를 사랑한 사람이다.
나주에는 전통적인 역사문화관광 자원이 있다. 역사 자원으로서 백제시대 창건한 미륵사에 고려시대 석불 두 점. 나주시 운봉리에서 유배생활을 했던 정도전이 거처했던 초사. 약전 약용 형제가 각자의 유배지로 떠나기 전 머물렀던 율정점이 있다. 또한 나주는 역사적인 인물도 많이 배출했다. 독립 투사 나월한 장군, 신숙주, 백호 임제, 우리나라 최초 수군제독 정지 장군, 거북선을 만든 나대용 장군, 의병장 금계 노인 모두 나주 출신이다. 특히 해군함대 정지함과 나대용함이 정지 장군과 나대용 장군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라 하니 그 분들의 활약상이 얼마나 대단했었는가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나주에는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것이 많다. 현대에 지어진 건물이지만 한옥의 장점을 살려 지은 팬션 '산에는 꽃이 피네'는 일부러 시간을 내어 꼭 가고 싶은 생각이 들게 하는 곳이다. 임금님이 사용했다는 둥근 상인 '나주반'의 명맥을 이어가는 사람들.....존경할 수밖에 없다. 전통을 이어간다는 것은 분명 쉬운 일이 아니다. 아름다운 옛 것을 소중히 여기고 보존하고자 하는 우리모두의 마음이 있다면 몇 백 년 아니 몇 천 년이 흐른다해도 그 전통은 분명 이어질 것이라 믿는다.
우리나라 땅덩이가 좁다고 하지만 과연 나는 얼마나 우리나라 곳곳을 다녀보았는가? 생각해보니 주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 명승지만 다닌 것 같다. 그래서 나주가 나에게 낯선 곳으로 다가왔나보다. 그렇다고 나주에 명승지가 없다는 말은 결코 아니다. 이 책을 읽어보니 나주에는 정말 많은 역사문화 자원과 수많은 역사적 인물들이 있으며, 혁신도시가 건설되면서 새롭게 부각되는 것과 원도심의 분위기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오래된 것들이 서로 공존하고 있었다.
마음대로 여행할 수 없는 코로나 시대에 비록 책을 통해 둘러본 나주 여행이었지만 재미있었다. 이제는 시간을 내서 직접 둘러보는 일만 남았다. 앞으로 나주가 혁신 도시와 원도심이 공존하며 발전하는 멋진 도시가 되기를 바라며 글을 마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