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실이, 혼자가 될 때까지
아사쿠라 아키나리 지음, 문지원 옮김 / 블루홀식스(블루홀6) / 2020년 11월
평점 :

'교실이, 혼자가 될 때까지' - 무척이나 의미심장한 제목이다. 나는 이 책을 두 번 읽었다. 처음 읽었을 때는 작가가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를 파악하면서 읽었고, 두 번째 읽을 때는 책 속에 등장하는 수취인의 능력이 어떤 방법으로 발동하였는지가 이해가 되지 않고 추리적인 면에 초점을 두고 읽어보았다. 한번쯤은 겪어봤거나 고민했던 우리의 이야기, 밖으로 속시원히 내보일 수 없었던, 마음 속에 감추어두었던 진솔한 속마음을 끄집어내었다는 점에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같은 학년의 세 친구의 자살. 그리고 주인공 가키우치에게 전달된 의문의 봉투. 수취인(상식을 훨씬 뛰어넘는 특별한 능력을 갖게 된 학생)이 되었다는 사실과 능력, 발동 방법 등의 내용이 적혀있다. 처음에는 믿지 않았지만 자신이 가진 능력이 사실임을 확인하게 되면서 '나'와 같은 수취인인 야에가시를 만나 세 명의 친구들이 자살이 아닌 다른 수취인의 범행이라 생각하며 사건을 파헤쳐가는 이야기이다.
사실 '나' 가키우치는 친구의 죽음에 오열하는 반 아이들을 보면서 공감하지 못하는, 오늘 아르바이트를 할 수 있다는 것에 기뻐하는 그런 아이였다. 그런 가키우치는 미즈키로부터 코즈에의 죽음을 막아달라는 부탁을 받으면서 야에가시와 함께 수취인을 찾아다닌다. 그러나 수취인이 누구이냐의 문제가 아니다. 아이들을 죽게 만든 수취인은 누구인지 금세 밝혔졌지만, 중요한 것은 어떤 능력을 갖고 있는냐와 능력이 발동되는 조건을 알아야한다는 것이다. 나도 이 부분을 읽으면서 수취인의 능력을 과연 간파할 수 있을까 걱정을 했다. 이 부분에서 우리는 추리소설을 읽는 재미를 맘껏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해가 쉬운 듯하면서 어려워서 두 번을 읽은 부분이다. 이걸 찾아낸 가키우치는 꽤나 영특하다.
결국 코즈에의 죽음은 막지 못했다. 그 순간부터 교실은 혼자가 되었다. 교실은 그저 수업만 받는 곳. 그 이외 것에는 관심도 갖지 않았고, 남의 일에 참견도 하지 않았고, 말을 걸거나 귀찮게 하는 일도 없었다. 수취인이 바라는대로 교실은 혼자가 된 것이다. 가키우치도 죽기 직전까지 갔다. 그러나 수취인의 능력과 발동 조건을 밝힘으로써 위기를 모면하게 된다.
우리는 서로 각자의 삶을 살아간다. 하지만 사회라는 커다란 틀 속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사회적 동물이다. 미즈키는 말한다. "다른 사람이 싫어도, 혼자이고 싶어도, 그래도 사람들 사이에 섞여서 살아가는 거야. ....섞여 살아가는 세상이라 소리도 지르고 싶을 정도로 성가시지만 그래도..... 혼자는 견딜 수 없을 정도로 외로워."
우리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나' 아닌 '타인'과 관계를 형성하면서 살아간다. 가족, 친구, 사회..... 이 세상을 살아가는 일이 생각처럼 녹록치만은 않다. 좌절을 겪을 때도 있을 것이고, 사람들에게 상처를 받을 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 우리의 상처를 치유하는 것도, 위로받는 것도 바로 더불어 사는 인간이라는 것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