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 제로 편 - 지혜를 찾아 138억 년을 달리는 시간 여행서 ㅣ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개정판)
채사장 지음 / 웨일북 / 2019년 12월
평점 :

<얕지만 넓은 지식을 책 한 권으로 끝낸 즐거움을 느끼며>
'지대넓얕 시리즈' 1과 2에 이어서 이번에 정독한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제로'편과의 만남은 나에게는 신세계를 본 것 같은 놀라움과 짜릿함을 주었다. 올 한 해 읽은 많은 서적 중 단연 최고였다. 이 책이 단순한 지식 전달로 끝났다면 나는 결코 이런 표현을 쓰지 않을 것이다. 책을 읽는 동안 느꼈던 재미와 감동. 그리고 가슴 울림은 정말 오래간만에 가져본 느낌이었다. 프롤로그에서도 나와있듯이 채사장이 가는대로 마음 편하게 따라가다보니, 어느새 인류의 위대한 스승을 만나고 있었고, 그의 사상에 귀를 기울이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다. 소름 돋는 순간이랄까......
제1장 우주편은 그간 어렵게만 생각하고 접근조차 시도하지 않았던 물리학과 관련된 지식을 알아가는 재미가 있었던 장이었기에 의미가 크다. 우주라는 거대한 구조 속에서 티끌보다 더 작은 '나'란 존재가 이렇게 심오한 우주의 세계를 탐독하고 있다는 것에 깊은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 우주 탄생을 거쳐 인류가 탄생하고, 인류에게 문명이라는 것이 생겼다. 그리고 수많은 시대와 장소에서 위대한 스승을 만났다.
'우파니샤드'의 범아일여 사상을 읽으면서 한참이나 깊은 생각에 빠졌다. 인도인들의 삶을 대하는 태도와 너무도 다른 나의 모습이 비교되었다. 가슴 깊숙이에서 뭉클한 것이 올라옴은 너무도 자연스러운 것이 아닐까.....노자의 도와 덕, 유가의 태극도설. 불교의 일체유심조 모두가 범아일여 사상과 일맥상통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그것은 우리의 눈앞에 펼쳐진 세계는 자아의 마음이 그려낸 것이며 자아의 내면 안에서 세계의 실체를 이해하려했던 위대한 스승들의 보편적 가르침이었던 것이다.
동양이 일원론적 세계관을 갖고 철학적 탐구를 했다면 서양의 철학적 사유는 세계와 자아를 분리하여 실체를 파악한 이원론에서 출발했다. 물론 물질 세계를 기반으로 하였기 때문에 동양에 비해 빠른 성장의 역사를 가능하게 했으며, 산업화를 이루는데 기여를 했다. 하지만 그 결과 많은 문제점을 드러냈다. 18세기 이르러 칸트에 의해 인식 주체와 인식 대상의 분리를 극복했고, 이원론적 세계관에 갇혀있던 기독교에서도 독일의 신비주의 등장으로 일원론의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우주가 만들어지고, 인간의 머리로는 숫자의 개념조차 피부에 와 닿지 않는, 138억 년의 시간을 여행하면서 위대한 스승들이 던져준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수 있는 자세를 갖게 되었다. 세계 속의 일부분인 나를 찾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 세계를 담아두려 할 것이다. 내면의 시간을 가지려 할 것이다. 눈앞에 보이는 물질세계에 마음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노력할 것이다. 그리고 차분해지고 너그러워지려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런 의미있는 시간을 갖게 해 준 채사장에게 다시 한 번 글로나마 고마움을 전해본다.
<얕지만 넓은 지식을 책 한 권으로 끝낸 즐거움을 느끼며>
‘지대넓얕 시리즈‘ 1과 2에 이어서 이번에 정독한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제로‘편과의 만남은 나에게는 신세계를 본 것 같은 놀라움과 짜릿함을 주었다. 올 한 해 읽은 많은 서적 중 단연 최고였다. 이 책이 단순한 지식 전달로 끝났다면 나는 결코 이런 표현을 쓰지 않을 것이다. 책을 읽는 동안 느꼈던 재미와 감동. 그리고 가슴 울림은 정말 오래간만에 가져본 느낌이었다. 프롤로그에서도 나와있듯이 채사장이 가는대로 마음 편하게 따라가다보니, 어느새 인류의 위대한 스승을 만나고 있었고, 그의 사상에 귀를 기울이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다. 소름 돋는 순간이랄까......
제1장 우주편은 그간 어렵게만 생각하고 접근조차 시도하지 않았던 물리학과 관련된 지식을 알아가는 재미가 있었던 장이었기에 의미가 크다. 우주라는 거대한 구조 속에서 티끌보다 더 작은 ‘나‘란 존재가 이렇게 심오한 우주의 세계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