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우트의 서양음악사 - 하 - 제7판
도날드 J. 그라우트 외 지음, 전정임 외 옮김 / 이앤비플러스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전공자가 읽을만한 책은 아닌 것 같다. 그럼에도 음악 이론적인 내용을 제외하고 역사적인 내용만 보자면 미술사와 흐름이 비슷한 것 같아 흥미로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음반과 라디오는 음악의 종류를 막론하고 그 청자의 규모에 있어서 전대미문의 증가를 가져왔다. 이제 음악은 거의 모든 사람이 - 그들이 받은 음악 훈련의 수준과 상관없이 - 손에 넣을 수 있는 것이 되었다. 이러한 테크놀로지는 바흐에서 바르토크에 이르는 클래식 레퍼토리의 광범위한 보급을 가져왔으며, 먼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덜 알려져 있던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만들었다. 그것은 또한 팝음악, 블루스, 재즈의 성장을 촉진했다. - P2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운형과 안재홍 등이 해방된 그날부터 좌우연합을 추구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이 지정학적으로 강대국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내부적으로 단결하면 강대국의 지원을 경쟁적으로 받을 수 있지만, 그러지 못하면 항상 민족적 위기에 처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실제로 미·소 양군이 주둔하고 있는 상황에서 두 나라와 등거리외교를 하면서 좌우합작을 하는 길만이 민족적 위기를 돌파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라고 확신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베르디 오페라는 광범위한 일반 청중을 즐겁게 하면서 동시에 전문가들도 매료시켰지만, 바그너와 다른 많은 오페라의 진지함은 대중 연예라는 목적에 맞지 않았다. 그 반작용으로 오페레타에서 보드빌에 이르는 대중 장르들이 만들어졌으며, 그것이 점차 중요해져 19세기 음악 문화의 상당한 토대가 되었다. - P1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세기 중반 이런저런 작품들이 반복적으로 연주되는 오페라 레퍼토리로 정착되어갔다.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이르면 새로운 작품이 무대에 오르는 일은 드물었고, 기본 레퍼토리가 잔 세계적으로 지배력을 갖게 되었다. 시대를 뛰어넘어 살아남은 이 작품들과 오페라라는 매체 자체가 엘리트를 위한 음악이 되었다. - P1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