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권신수설로 해석되는 서구의 절대주의 권력은 비록 신이 그 정당성을 제공해주었으되 권력 자체는 어디까지나 세속적 권력에 불과하였다. 그렇지만 동남아의 절대주의 권력은 그 자체가 신성한 것이며 이를 소지한 왕은 신과 같은 ‘반신적‘ 존재, 즉 ‘신왕‘(神王, devaraja)이었던 것이다. - P1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차대전중에 연합군이 군사지역편제의 차원에서 현재는 동남아에 속하는 필리핀을 제외하고 스리랑카(당시 실론)를 포함시켜서 ‘동남아사령부‘라 불렀고 이후, ‘동남아‘ 용어가 쓰이기 시작했다. - P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화의 힘 Philos 시리즈 4
조셉 캠벨 & 빌 모이어스 지음, 이윤기 옮김 / 21세기북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화를 통한 세계의 해석. 그다지 와닿지는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천복(天福)의 정거장은 어디에 있느냐....... 우리는 이것을 찾아야 합니다. 오디오를 틀어놓고 좋아하는 음악을 올려놓아도 좋습니다. 아무도 거들떠보자 않는 시시한 음악을 올려놓아도 좋습니다. 좋아하는 책을 읽어도 좋겠지요. 바로 이 성소에서 다른 삶을 ‘그대‘라고 부르는 것을 체험하는 겁니다. - P1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지만 신화에는 네 번째 기능이 있어요. 오늘날 우리가 한번 음미해보아야 할 것이 바로 이 기능입니다. 그것은 우리에게 주어진 이 삶을 이 특정한 상황에서 어떻게 살아낼 것인가 하는 문제와 관련된 교육적 기능입니다. - P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