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멸의 이 순신’ 때처럼 ‘대왕 세종’의 종종 마음에 박히는 의미 있는 구절들이 반갑고 고맙다.
주말 ‘대왕 세종’을 친구와 같이 보면서 우리는 동시에 한 의미 깊은 구절에 박혀서 드라마가 끝나고 나서도 그 이야기를 1시간은 한 듯 하다.

사람들의 오해 한 가운데에 있게 된 충녕 대군을 향해 효녕 대군은 말한다. 사람들은 너에게 왕의 자리를 뺏으려 하는 자라고 오해할 터이다, 너는 그것이 두렵지 않느냐고. 충녕 대군은 이미 자신의 엄마에게도 오해를 받아 이제 너를 자식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이야기까지 들은 터였다.

이에 대해 충녕 대군은 말한다. 두렵다고. 하지만 세상 사람들이 두려운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오해 하게 될까봐 두려워하여 세상에 대해 진실에 대해 눈을 감게 될까봐, 정직하게 마주하지 않게 될까봐 두렵다고. 대사가 정확하게 기억나지는 않지만, 진실을 외면하게 될까봐 두렵다는 그런 내용이었다.

세상 사람들이 자신을 이해하지 못하고 오해 속에 자신이 억울하게 되는 것이 두렵지 않고 자신이 진실을 세상으로부터, 정직을 외면하게 될까봐 두렵다고 한 충녕 대군의 대사는 잠시 시간이 정지된 듯 느릿하게 진하게 가슴에 울렸다.

친구는 자신이 뜻했던 것을 이룬 사람과 이루지 못한 사람간에는 두려움에 있어 차이가 있는 것 같다고 했다. 두려워하는 대상이 다르다는 것이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무언가를 해 보기도 전에 두려워한다. 그리고 사람들의 시선과 의견, 독선과 오해를 두려워한다. 그리고 자신이 그것을 견디지 못할까봐 두려워한다. 사람들로부터 인정받지 못할까봐 두려워한다. 그 빛 속에 둘러싸여 있는 듯한, 보장되어 있는 듯한 그 그룹 안에 그 원 안에 들어가지 못하게 될까봐 두려워한다.

하지만 우리가 스스로 자기 자신에게 진실하지 않게 될 그 두려움을 두려워하게 된다면 아마도 우리는 미처 알지 못했던 나, 그런 내가 있는 ‘바로 그 삶’을 만나게 되지 않을까.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3편>에 보면 부자 아빠가 이런 말을 저자에게 해 준다. 세상 사람들이 너에게 안 된다고 말하는 것을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말라고. 세상 사람들이 안 된다고 말하는 것은 대체로 두 가지 이유 때문이라고. 그 하나는 자신이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기에 너도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것. 또 하나는 네가 무엇을 하고자 하는 지를 진정으로 이해하지 못하기에 못할 것이라고 한다는 것.

진정 무언가를 뜻하고자 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이 정말 우리에게 다가온 바로 그 무엇이라면 세상 사람들이 왜 나에게 안 된다고 말하는 지 생각해 보자. 부자 아빠가 말해 준 그 이유가 아주 설득력 있게 들린다.

지금 무언가를 두려워하고 있다면 스스로에게 물어보자. 그것이 어떤 두려움인지? 자기 자신을 부정하고자 하는 두려움은 아닌지? 자기 자신에게 진실하지 않게 될까봐 두려워한다면 우리는 아마 최대한 자기 자신에게 진실하고자 사랑스러운 모습을 연출하고 있는 게 아닐까.

충녕 대군처럼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대상을 제대로 골랐으면 좋겠다. 그리고 바로 나 자신을 감동시키는 그 어떤 일을 찾은 놀라운 행운을 누리고 있다면 오늘 하루 용기 백배 충전되어 자기 자신으로 살아가는 기쁨을 누렸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