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5도살장 (무선)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50
커트 보니것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16년 12월
평점 :
물리 법칙 안에서 인간의 삶은 '불가역적' 성격을 갖습니다.
현상이 일어나기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거죠.
'돌이킬 수도 되돌릴 수도 없는 한 번뿐인 삶이니 신중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하려는 건 아닙니다. 하지만 잊지 말았으면 하는 마음은 있습니다. 이미 벌어진 일은 되돌릴 수 없다는 걸요.
<제 5 도살장>은 2차 대전 당시 벌어진 '드레스덴 공습'을 핵심으로 해서, 전쟁의 비극과 죽음의 하찮음과 시간을 이야기하는 작품입니다.
흔히 영화에서 그려지는 영웅적인 승리와는 거리가 먼 아직 어리고, 여린 아이들이 희생되는 비극.
전쟁은 다만 비극이라고, 영원히 끝나지 않는 비극이라고, 오랜 시간이 지나도 잊히지 않는 비극이라고 이야기하는 작품입니다.
제목 <제 5 도살장>은 전쟁 당시 드레스덴에 포로를 수용하기 위해 원래는 가축 도살장이었던 곳을 수용소로 개조하고 붙인 공간의 이름입니다.
확대 해석해 보자면(제 특기죠), '가축'이 머물던 곳에 '인간'이 머물게 함으로써 '인간성 상실'을 의미하고, '도살'되는 게 가축이 아니라 '인간'이던 시기이기에, '인간 학살'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러니까, 제목부터 아주 처참하고, 비극적인 전개를 '암시'가 아니라 '명시'하고 시작한 셈입니다.
실제로 이야기는 처참하고 또 참담합니다.
이야기가 시작되기 전에 <제 5 도살장>이라는 제목에 자세한 세부 제목이 붙습니다.
<제 5 도살장 혹은 소년 십자군 죽음과 억지로 춘 춤>
이 이야기가 처참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단순히 무수한 죽음이 등장하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죽음을 '당하는' 이들은 결코 스스로 원해서 죽는 것이 아니며, 죽은 이들 가운데 '소년(아이들)'과 민간인이 너무나 많았고, 승자에게나 패자 모두에게 남은 건 상처와 슬픔뿐이기 때문입니다.
<제 5 도살장>은 '나'가 쓴 '드레스덴'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나'는 첫 줄에 이렇게 적습니다.
이 모든 일은 실제로 일어났다, 대체로는.
<제 5 도살장> 中
작가인 거트 보니것은 실제로 2차 대전에 참전했고, 드레스덴 공습을 경험했다고 합니다. 믿거나 말거나 이 소설은 실제로 일어난 일을 적은 것일 수밖에 없습니다, 대체로는 말이죠.
이야기의 주인공 빌리 필그림은 '시간에서 풀려난 자'입니다. 자주 쓰는 표현으로 바꾸면 '시간 여행자'라는 이야기죠. 하지만 빌리 자신은 여행할 수 있는 시간에 대한 선택권이 없습니다. 물론 일어날 일을 안다고 해도 바꿀 수도 없습니다. 바꾸려고 하는 시도조차 하지 않습니다.
'그렇게 그렇게, 뭐 그런 거'기 때문에요.
빌리는 시간에서 풀려난 사람일 뿐 아니라 '트랄파마도어'라는 외계인에게 납치되어 지구에서 수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구경거리가 되기도 합니다.
'시간 여행'에 '외계인' 그야말로 얼토당토않은, 같지도 않은, 있을 수 없는, 말도 안 되는, 그럴 리 없는, 시답잖은, 하찮은, 믿기지 않는, 믿을 수 없는, 농담 따먹기 같지요. 하지만 빌리는 그 모든 걸 행하고 있고, 경험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자신이 언제, 어떻게, 누구에게 죽는지까지도 말이죠.
<제 5 도살장>은 그런 이야기입니다. '말도 안 되는 이야기'죠. 하지만 빌리가 경험한 그 말도 안 되는 이야기보다 더 말이 되지 않는 게 있습니다. 바로 '전쟁'입니다. 전쟁은 왜 치러야 하는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정말 '말도 안 되는 일'이니까요.
빌리는 시간에서 풀려났기에, 트랄파마도어인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을 깨달았기에, 어쩌면 너무 많은 죽음을 경험했기에 죽음 자체를 일상적인 것 혹은 결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인식합니다.
그래서 모든 죽음 뒤에는 이 말이 따라붙습니다.
"뭐, 그런 거지."
죽음을 마치 숨 쉬거나 밥을 먹는 일처럼 생각한다는 겁니다. 유감스럽게 생각해도 어쩔 수 없다는 생각이 뼛속 깊이 새겨진 결과 생겨난 만성적인 무력감이 아닐까 하고 생각도 해봤는데, 아무래도 그보다는 너무나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이라 유감스럽게 생각할 필요도 없어하는 거라는 쪽으로 생각이 쏠리게 됩니다.
좀처럼 설명하기 어렵다고 느끼기에 본문 소환 찬스를 쓰기로 합니다.
하느님, 저에게
제가 바꿀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차분한 마음과
제가 바꿀 수 있는 것을
바꿀 수 있는 용기와
언제나 그 차이를
분별할 수 있는
지혜를 주소서.
빌리가 바꿀 수 없는 것들에는 과거, 현재, 미래가 있었다.
<제 5 도살장> 中
현실 앞에서 기도는 의미를 잃습니다.
지혜로운 자라면 용기만으로 바꿀 수 없음을(과거도 현재도 미래도) 차분한 마음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겁니다. 빌리 필그림처럼 말입니다.
전쟁의 처참함을 이야기하고 있음에도 <제 5 도살장>은 참혹한 인상을 주지 않습니다. 오히려 '우습게' 느껴지죠. 전쟁, 죽음 같은 모든 게 말입니다. 하지만 우습게 느껴진다고 해서 처참하지 않은 건 아닙니다. 역설적으로 전쟁의 비극적인 면모가 확대되고 극대화되어 마음에 와 닿는 거죠.
기이한 일이지만, 실제로 그런 일이 일어납니다.
로버트 베번의 저서 <집단 기억의 파괴>라는 책에서는 '전쟁'이라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살'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이 '학살'은 인간 혹은 인종에 대해서만 일어나는 게 아닙니다. '기억' 자체를 학살하려는 시도가 무수히 일어난다는 겁니다.
어떻게요?
기억을 어떻게 학살할 수 있는지 궁금하신가요?
기억을 학살하는 건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기억'을 간직한 공간, 건축물, 책과 같은 '기록'을 지우면 되는 겁니다.
영국과 독일이 주고받은 공습처럼, 단순히 전략적 요충지나 무기를 생산하는 곳 외에 문화유산이 가득한 곳을 벽돌 한 장 남기지 않는 방식으로 쓸어버리면 기억도 쓸려나가게 된다는 겁니다.
그렇게 간단하지 않을 거라고요? 그런 일이 정말 일어나느냐고요?
실제로 역사 속에서 그러한 과정은 무수히 반복되어 왔습니다.
우리나라, 대한민국에도 비슷한 일이 여러 차례 있었습니다.
반만 년,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대한민국에 조선 시대 이전의 건축물 혹은 유물 혹은 역사 기록이 얼마나 남아있나요?
다른 문화권과 비교해봤을 때, '거의' 없는 것이나 다름없는 상태인 게 대한민국의 역사라고 합니다.
'소거' 혹은 '삭제'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는 이럴 수가 없는 거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는 유태인을 '말살'하려고 했습니다. '최종 해결'이라고 했다고 하죠.
가슴에 별을 달게 하고, 한 번 수용소에 들어가면 연기가 되어 소각로의 굴뚝을 통해서만 바깥으로 나갈 수 있다고 하는 상황에 몰아넣은 것에 그치지 않고, 체계적으로 유태인의 건축물과 역사를 파괴한 것이 나치의 계획이었습니다. 이 계획을 방해하는 존재 역시 죽어 마땅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수백만 명이 죽죠.
무엇이 남았을까요.
나치, 제국의 영광도 완성하지 못했습니다.
누구도 희생 없는 정말무결한 승리 혹은 영광을 차지하지 못했습니다.
죽음은 차고 넘쳤고, 그에 비례해 슬픔과 절망, 상처가 후유증으로 남았습니다.
<제 5 도살장>은 죽음 안의 죽음을 이야기합니다. 그것이 전쟁이라고 말합니다. 새가 지저귀는 소리, '지지배배뱃'하는 소리는 어쩌면, '너희는 지금 쓸데없는 일을 저지르고 있어.'라는 속삭임 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솔직히는, 이 짧아 보이지 않는 감상이 뭐라고 쓴 건지, 뭘 쓰고 싶은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지지배배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