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에 탄 나무토막 같구나, 아스케 보림문학선 8
레이프 에스페르 안데르센 지음, 김일형 옮김, 울리치 뢰싱 그림 / 보림 / 2011년 8월
평점 :
품절


[불에 탄 나무토막 같구나 아스케/보림] 꿈을 향해 쫓아가는 자- 아스케!

 

 

 

문학선을 읽어보기는 오랫만인것 같다.

나름 딱딱하고 지루할까 하면서도 그 안에 담겨져 있는 의미는 결코 읽어보지 않으면 모르리...

 

 





 

보림 문학선- 불에 탄 나무토막 같구나 아스케-

아스케의 이름은 불에 탄 나무 토막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바이킹 시대의 14살 소년들이 외딴 섬에 버려지면서 두 아이가 만난 배경과 이야기는 사뭇 진지하게 엮어져 있어요.

특히 둘 사이 서로 다른 신분 사회에 노예 제도 속에서 강한 자인 족장의 아들 안과 어느날 갑자기 노예가 되어버린  아스케 사이에서 복선으로 깔린 칼자루 하나를 두고, 펼쳐지는 외딴 섬 이야기는 무인도에 버려진 두 소년의 길고도 바닷가 여름을 이야기 해주는것 같았어요.

 

 





 

결코 둘은 친해질래야 친해질수 없는 신분 계급의 차이로 인해, 둘의 갈등은 더해가지만, 둘만 남겨진 외딴섬에서 둘은 친구가 되고, 그사이 서로 도와가면서 살아가는 모습에서 서로 잘나고 못나고 보다, 서로에게  강점을 개발하고 함께 한다는 사실을 알려주면서 서로를 알아가면서 친구가 되어간답니다.

 

사람에게 있어서 힘의 존재는 그야말로 모두 다른 가치를 지니고 있지요.

특히, 시대를 불문하고, 강자에겐 힘센 칼과 같은 권력, 약자에겐 힘 조차 내세울 수 없는 나약함, 이세상엔 서로에게 옭아매여, 나 자신을 내세우거나, 내세울게 없는 나약한 인간상을 아주 잘 표현하고 있는 책이었어요.

 

결코 아스케가 노예가 아닌 족장의 아들이었던것, 어느 한순간 몰락으로 노예가 된

아스케에겐 암담함 속에서 피어나는 작은 들꽃과 같은 존재였답니다.

거부할수 밖에 없는 현실에서, 나 자신을 발견하고, 내가 어떻게 가야할지를 알려준 아스케 이야기.

 

그렇게 둘은 해협쪽에서 줄무늬 돛 세개를 바라보며 서로가 나눈 대화는 사뭇 진지했어요.

 

"너는 자유를 되찾을 거야, 정말 자유롭게 된다는 말이야. 하지만 넌 족장이 되지 못할 거야 아스케... "

"족장! 내가 족장이 되든지 안 되든지상관 안해, 그건 자기 아버지가 족장이거나, 가장 부자이거나, 가장 힘이 쎈 사람이나 되는거야. 하지만 난 대장장이가 될 거야. 그건 누구나 노력하면 될 수 있거든."

 

꿈을 향해 쫓아가는 자! 아스케-

결코 자신의 배경이 중요한게 아닌 현실에 맞서고

자신의 꿈을 향해 쫓아가는 아스케를 바라보며 내가 추구하는 가치관을 한번 쯤 생각해보게 되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