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의 비밀 - 뇌는 어떻게 마음을 창조하는가 한림 SA: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15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편집부 지음, 김지선 옮김 / 한림출판사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의식의 정의와 매커니즘, 그리고 발생 과정은 여전히 "최후의 변경", "인류가 아직 발을 닫지 못한 미지의 영역"(p.7)이다. 인류는 고대부터 철학, 종교, 신비주의, 과학 등 다양한 영역으로 의식의 비밀을 풀고자 시도했다. 현재는 인지 과학, 신경 과학과 뇌과학이 주도적 역할을 하지만, 의식을 바라보는 관점과 풀어야 할 난제들이 쌓여 있다.



<의식의 비밀>은 대중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서 편집한 책이다. 과학계에선 세계적인 잡지라는데, 문과 출신이라 그런지 처음 들어봤다. 기억, 과학 윤리, 의식과 인간의 탄생 등 대중이 궁금할 만한 과학 주제를 비전공자도 이해하기 쉽게 풀어낸 시리즈라고 한다. 이 참에 알게 되었다.



의식은 우리가 세계를 경험하는 방식이자, 주관적 경험이 주변의 객관적 우주와 연결되는 방식으로, 단순한 자각과는 다르다. 이른바 '마음'으로 불리기도 한다.(p.5) 현재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장치(fMRI) 등 다양한 기기로 뇌의 변화, 의식과의 관계를 실험하지만, "두뇌 처리 과정이 어떻게 의식으로 변환되는가는 과학이 아직 풀지 못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다."(p..85) 의식은 두뇌 활동이 일으킨 산물이라는 환원주의적 관점과 함께 물질과 별도로 의식이 존재한다는 신비주의적 관점이 여전히 존재하는 이유다.



6장 "영성의 수수께끼"는 흥미로운 챕터다. 프랑스 영화 <마터스 : 천국을 보는 눈>처럼 영성의 비밀을 풀려는 미친 과학자나 종교가들은 오컬트 호러 영화의 단골 소재다. 다행히 <의식의 비밀>은 매드 사이언티스트들의 기괴한 실험을 다루진 않는다. 대체로 fMRI 등 두뇌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영성을 파헤친다. 일종의 환원주의적 접근이다.  



예컨대, 오르가즘과 명상 체험은 자의식을 잊게 하고 행복감을 준다는 면에서 비슷하나, 오르가즘이 소뇌가 활성화된다면, 명상 작용은 대뇌의 우측 각회 영역 중심으로 일어난다. 유사한 임사체험 경험은 어떻게 발현되는가. 기묘한 소음, 평화로운 기분, 유체 이탈 경험은 어디서 비롯되는가에 대한 실험도 계속 이뤄져 왔다. 특히 측두엽에 자극을 일으켜 인위적으로 종교적 체험을 유발하는 실험은 대단히 흥미롭다. 수녀 1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선 하느님과 교감을 회상하는 동안, 미상핵(헉습, 기억, 사랑), 섬엽(사회적 감정), 두정엽(공간 지각) 등 여섯 개의 뇌 영역이 활성화되었다. 뉴런의 전류 회로에서는 다양한 주파수의 뇌파가 발생했다. 이처럼 영성 체험과 유사한 경험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데, 일상에선 마음챙김 같은 수련법이 효과가 있다.

근대 철학자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명제를 말했지만, 그 의식의 본질은 아직까지 인류가 풀지 못한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의식의 비밀>은 "1. 의식의 본질, 2. 이론 : '뇌'에서 '마음'까지, 3. 의식을 계량하다, 4. 현실의 변화된 상태, 5. 향정신성 약물과 치료, 6. 영성의 수수께끼" 라는 여섯 챕터로 의식의 비밀을 분석한 과학적 성과와 여러가지 실험을 소개한다. 아메리칸 사이언티픽 시리즈는 처음 알게 되었는데, 읽는 동안 미스터리 잡지를 읽는 듯 빠져들었다. 13권 <기억의 세계>나 16권 <인간의 탄생>, 이후 출간될 <Searching for the God particle>(신의 입자를 찾아서)​도 읽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