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담순호선사 평전
방남수.임병화 지음 / 화남출판사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담 스님은 대한불교조계종 제2대 종정(宗正)을 역임한 분으로, 본명 이찬호, 법명이 순호(淳浩), 법호가 청담(靑潭), 우리나라 선맥(禪脈)에서 빼놓을 수 없는 위인 만공(滿空) 선사에게 견성(깨달음) 인가를 받고, 도호 올연(兀然)을 받았다. 청담 스님은 1971년 세수 70세, 법랍 45세로 입적했는데, 불자라면 스님이 우리나라 현대 불교사에 남긴 족적을 모를 수 없을 것이다.

요즘 혜민, 법륜 스님 불교에세이가 베스트셀러에 오른다. 나를 돌아보고 현실을 헤쳐나갈 지혜를 얻는다. 한 걸음 나아가 <청담순호선사 평전>을 접해보면 어떨까. 삶 자체가 수행이자 한 편의 현대 불교사이다. 특히 스님이 애썼던 불교 정화 운동과 마음선(禪) 사상은 현대인들에게 본보기가 되겠다.



청담 스님은 이른바 인욕(忍辱) 제일로 불렸다. 수행에 철저하였다. 남들이 자는 시간에도 홀로 호롱불을 켜고 정진한 것은 물론이고, 오후 이후에는 공양을 먹지 않거나, 첫 번째 뇌졸중 증세가 왔을 당시에 불편한 몸을 이끌고 하루도 빠짐없이 백팔 배 정진과 선식으로 회복한 일화는 유명하다.



이러한 정신은 교계 정화로 이어졌다. 일제강점기 이후 불교계에 왜색이 짙어져서 대처승과 주육(酒肉)식을 가리지 않는 문화가 대중화됐는데, 이러한 현실을 바로잡고자 정화 운동을 주도하였다. 나중에 조계종 종정을 지내신 성철 스님과 봉암사 결사를 맺고, 비구니 수행 정진과 철저한 계율 준수를 재현한 수행공동체를 결성하였다. 고려 시대 지눌 스님이 정혜 결사를 조직하였듯, 혼탁한 불교계에 경종을 울리는 유명한 사건이었다. 정화(淨化) 불사는 계속되었고, 대처승 조직과 대립도 마다치 않았다. 비구니 중심의 본래 계율과 정법을 지키고자 하는 운동으로 결국 대한불교조계종이 성립하는 데 혁혁한 공을 세우게 된다.



청담 스님이 인욕과 교계 정화에 힘쓴 밑바탕에는 참회 사상과 마음선(禪) 사상이 있었다. "회의 참(懺)은 저지른 잘못을 뉘우치고 반성하는 것이며, 회(悔)란 다시는 같은 죄를 짓지 않는 것이다." (p.83) 스님은 "인간의 '잘못을 부끄러워할 줄 아는 마음이 가장 으뜸가늠 장엄이다.'고 하신 부처님의 말씀을 사무치게 되새기며 살아갈 때 처음으로 자기가 하는 일의 참뜻을 깨닫는 보람 있는 삶이 될 것이다."(p. 88) 라고 말씀하셨다. 스님이 기거했던 도선사가 참회도량이 되고, 거기에 호국참회원이 건립된 배경에는 이러한 참회 사상이 있었다.



또한, 스님은 특히 마음을 강조하였다. 현대인이 물질 만능 주의, 경쟁 스트레스 같은 각종 번뇌에 빠져 있는 상황을 직시하고, 해결책으로 오직 마음이라는 유심(唯心) 사상과 심즉시불(心卽是佛)을 강조하였다. 참회와 정진으로 본래 청정한 마음을 깨달아 참나를 찾아가기를 바랐다. 마음 사상은 선종(禪宗)의 초대 조사 보리 달마 선사부터 우리나라 만공, 만해 스님으로 이어지는 선맥(禪脈)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깨달음을 위하여 간화선(看話禪 - 화두를 참구하여 진리를 깨닫고자 하는 참선법)을 중요시하였다. 만공 선사에게 받은 무(無) 화두 - 조주록에 나오는 일화로 구자무불성(狗子無佛性 - 개에게 불성이 없다) 라는 화두) - 를 열심히 간구하여 깨달음을 얻었다.



청담 스님은 교계 정화와 함께 불교의 현대화에 이바지하였다. 3대 목표인 포교, 역경, 도제양성을 강조하였고, 불교신문의 전신인 <대한불교>를 창간하였다. 초대 조계종 총무원장을 비롯하여 교단의 중책을 맡아 다양한 사회 활동과 강연을 입적하기 전까지 수행하였다. 호국 불교 정신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사회 복지같은 사회적 문제 해결이나 중생 교화에 힘쓰다가, 결국 과로로 인한 뇌졸중이 원인이 되어 입적하기에 이른다.



청담 스님이 지나온 족적은 불교 본래의 계율과 정신에 입각한 인욕 수행의 길이자, 그것을 바탕으로 한 현대 한국 불교계 정화 운동의 산실이었다. <청담순호선사 평전>은 스님의 일생과 사회 운동, 중반 이후부터는 마음 사상과 선(禪) 사상을 깊이 깊게 다루고 있다. 하나하나 허투루 다룰 수 없는 탓에 책이 두껍다. 천천히 읽어가다 보면 우리나라 불교계 역사, 선맥(禪脈)과 교리, 무엇보다 불교계의 거목이었던 청담 스님의 수행 정신과 사상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참회와 마음 사상은 불자를 넘어 현대인에게 많은 귀감으로 다가온다. 세파에 휘둘리며 스트레스와 번뇌에 신음하고 있다. 청담 스님의 말씀과 일생을 통해 참나를 떠올리고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기를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