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력의 비밀 - 잠자는 거인, 무기력한 아이들을 깨우는 마음의 심폐소생술!
김현수 지음 / 에듀니티 / 2016년 5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 어린이, 청소년의 행복지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2009년부터 평가한 이래로 최하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학업 성취도는 최상위권이다. 각종 사교육과 경쟁의 틈바구니에서 학업 성적은 우수하지만, 자발적인 동기나 흥미보다 스트레스와 억압을 감내하면서 입시 경쟁에 몰리고 있는 탓이다.


경쟁에 몰린 학생들은 무기력을 호소한다. '초등학교 때까진 열심히 했는데, 중학교(혹은 고등학교) 입학하고 나서 아이가 변했어요.' 혹은 '작년까진 안 그랬는데 성적이 심하게 떨어졌어요.' "안 해요!", "못해요!", "몰라요!" '애가 게을러지고 반항을 해요. 학교에 가기 싫어해요.' 심지어 등교 거부를 하기까지. 방송과 주변에서 종종 듣는 이야기다. 이럴 경우 부모는 자녀의 무기력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

실제로 <무기력의 비밀> 저자인 정신과 전문의 김현수 씨에 따르면, 과거에는 ADHD 같은 집중력 장애에 관한 강의가 많이 들어왔지만, 요즘은 학생들의 무기력에 관한 강연 요청이 많이 들어온다고 한다. 청년들은 N포 세대라 불린다. 취업, 연애, 결혼 등 당연시되었던 삶의 요소들이 이제는 성취하기 어려운 과제가 되었다. 일본에서도 사토리(득도) 세대라고 하여 젊은이들이 돈벌이와 출세에 관심이 없고 욕망을 억제하는 행태가 신조어로 자리 잡았다. 아이, 청소년, 청년세대를 막론하고 무기력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영화 <곡성>의 대사인 "뭐시 중헌지도 모르고!" 처럼, 단순히 무기력의 늪에 빠진 학생들을 비난하고 다그치기 바쁘다. 잘못된 대처가 아이들을 더욱 무기력하게 만든다. 저자는 말한다. "그래서 이해가 쉬운 일이 아니라는 예방주사를 맞고 출발하려 한다. 우리가 눈앞에서 보는 아이들의 무기력함이 형성되어온 과정을 슬픔과 분노, 해리와 분열이다. 이 과정의 결과로서 무기력을, 한심하다거나 개념이 없다고 매도하는 것은 너무 매정한 일이라는 것을 알리고 시작하고 싶다." (p.29)


저자는 아이들의 무기력에 관한 관점을 바꾸기를 권한다. 무기력은 다그쳐야 할 원인이 아니라, 아이가 겪고 있는 피로감, 절망과 자기학대, 분노, 트라우마의 결과다. 외려 어른들은 이러한 상황에 무지하고 무기력하여 잘못된 훈육을 한다. 부모의 과잉보호, 지나친 기대, 방임과 무기력, 순응만을 강조하는 태도가 원인일 수 있다. 자녀가 학업을 포기하고 게임 중독에 걸려 현실 도피하는 것도 무기력의 일종이다. 사회적 시스템도 마찬가지. 경쟁과 차별을 일상화하는 교육 분위기, 획일적인 기준으로 줄 세우기 등. 전반적으로 학생들을 불행하고 무기력하게 만드는 환경이다.


<무기력의 비밀>은 무기력에 빠진 아이들을 위해 "변화를 이끄는 마음의 심폐소생술"을 제안한다. 비난보다 역설적으로 긍정하고 환대해주기, 존중과 참여의 기회를 만들어주기, 격려해주기, 구체적으로 무기력의 유형별 처방법을 다루고 있다. 상식적인 내용이지만, 상식적이지 않다. 애정이란 이름으로 과잉보호, 과잉기대를 하고, 격려라는 이름으로 아이에게 부담과 은근한 비난을 쏟는 부모들이 많다. 제대로 된 격려 방식과 교육법을 모르면, 애정과 칭찬도 자녀에게 독이 되고 부모의 자기합리화에 지나지 않는다. 내 자녀, 학생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인생을 개척해 나가도록 유도하고, 정서적 회복 탄력성(resilience)을 길러 험한 세상을 건강하게 살아가는 데 이바지해야 한다. 청소년, 부모, 일선 교사뿐 아니라 평소 무기력에 빠진 독자들도 참고할 만하다. 올바른 교육과 대처법을 알고 자기 삶에 적용해 보는 경험이 무기력 탈출에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가 눈앞에서 보는 아이들의 무기력함이 형성되어온 과정을 슬픔과 분노, 해리와 분열이다. 이 과정의 결과로서 무기력을, 한심하다거나 개념이 없다고 매도하는 것은 너무 매정한 일이라는 것을 알리고 시작하고 싶다." (p.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