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천덕 신부의 하나님 나라 - 지금 우리 사회에서 하나님 나라를 만들어가기 위하여
대천덕 지음 / 도서출판CUP(씨유피)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故 대천덕 신부의 이름은 낯익다. 성공회 사제로서 성공회대학교의 전신인 성 미가엘 신학원의 원장으로 재직하였고, 강원도 태백에 초교파적 수도원인 예수원을 설립하여 참신앙과 공동체 생활에 평생토록 노력하였다. 특히 <진보와 빈곤>을 쓴 헨리 조지의 토지공개념 제도를 성경적으로 해석하여 사회정의를 구현하고자 했던 기독교도로 유명하다. 대한민국 조지스트 중에 빼놓을 수 없는 분이다. 개인적으로 가톨릭 신자지만 풍문으로만 듣던 그의 신앙과 사회정의에 관한 사상이 궁금하였던 차에 <대천덕신부의 하나님나라>를 접하게 되었다.


책은 총 3부로, 1부.' 미성숙한 신학의 위험'은 성경이 말하는 성숙한 신앙은 무엇이며, 미성숙한 신앙의 모습과 원인에 대해서 살펴본다. 2부. '성경적 경제의 기초 원리'는 조지스트였던 신부의 경제관이 드러난다. 3부. '그리스도인은 사회문제를 어떻게 다룰 수 있을까'는 기독교도의 사회의식 환기와 이웃과 함께 하는 마음가짐, 영적 교제인 '코이노니아'의 활성화를 주장한다.


대천덕 신부의 말처럼, 그리스도 안에서 나오는 신앙, 선악을 명확히 분별하는 성숙한 사고와 어린아이와 같은 단순한 태도, 실천하는 삶에 무심했던 듯하다. 십자가를 지는 것보다 기복에 가까운 '아편 신학'(p.40~41)이 아니었나 싶다. 미성숙한 신앙의 원인으로 '성경 번역의 문제', '균형 잡히지 않는 찬송가의 영향',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는데, 번역의 문제가 인상적이었다. 'evangelia'는 '기쁜 소식'이지 복음이 아니었다. 복은 자아중심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 또한 복음화, 전도를 뜻하는 'evangelize'는 가르친다는 의미가 아니라 '증거하는 것'이라는 의미다. 진정한 전도는 남을 가르치지 않고 스스로 증거가 되는 삶이다. 그러니 믿음에는 실천이 따라야 한다.


기독교도의 실천은 종교적 의식뿐만 아니라 사회정의를 추구해야 한다. 신부는 헨리 조지의 토지세가 기독교적 경제 정의에 부합한다고 보았다. 레위기 25장에 나오는 희년禧年의 해는 50년마다 땅을 원래 주인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법이다. 소유권을 분배, 위임할 수 없다면 현실적인 방안이 토지세이다. 대지주제도는 주님의 법이 아니라 이스라엘의 이웃나라 시돈의 바알법을 따른 것으로 신앙에 맞지 않는다. 또한 가난한 자를 위해 임하신 그리스도와 부자들에게 즐겨 베풀고 나누라는 말씀에 어긋나는 행위라고 한다. 그리고 희년을 지키는 구체적인 방안으로 도시를 떠나 농촌에 정착하기, 지방 토지신탁 사단법인 운영, 혹은 키부츠 같은 공동체 활성화 등 9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대천덕 신부가 소천한 현재도 부동산이 사회적 문제다. 집값, 전세대란 등으로 서민들의 살림살이는 팍팍해지고, 조물주 위의 건물주라는 우스갯소리가 공공연히 나돌고 있다. 비록 신부의 희년 경제론을 실현하지 않더라도, 크리스천이 이러한 경제와 이웃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이 성경적 삶이라는 가르침은 영적인 삶의 실천이 사회정의와 밀접한 것임을 깨닫게 했다. "교회의 책임은 그 구성원들에게 심리적, 영적, 경제적 필요를 채워줄 성령의 교제인 '코이노니아'를 제공하는 것이다."(p.175~176)라는 의견도 인상 깊었다. 성숙한 신앙을 추구하며 크리스천의 사회적 책임과 의무가 무엇인지 고민하고 실천하는 삶. 신부의 모든 의견에 수긍하지는 못하더라도 그 핵심은 되새겨볼 가치가 충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