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으로 만나는 몸 공부 - 노장사상으로 배우고 황제에게 듣는 몸의 원리
차경남 지음 / 글라이더 / 201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몸 공부"란 구체적으로 무엇일까? 게다가 "인문학으로 만나는" 이 붙어서 왠지 몸에 대한 철학적 담론이나 성찰을 담아 고리타분하지 않을까 염려스럽다. "노장사상', "황제"가 보인다. 표지가 말하듯 <몸 공부>는 동양학, 특히 <황제내경>과 노장사상으로 풀어본 인간의 몸 탐구이다. <황제내경>은 동양의학 고전 중의 고전으로, 우리나라의 국보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동의보감>의 기반이 된 책일 만큼 한의학도뿐 아니라 한의학에 관심이 많은 일반 독자들에게도 유명하다. 

 

<황제내경> 중 '소문편'은 총론격으로 많이 인용된다. 무엇보다 자연과 우주, 인간의 상호작용과 인체의 장기, 근골, 정(精), 기(氣), 신(神)에 대해 논하고 있어서 단순히 의학뿐 아니라 동양학, 단전호흡 등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원전은 아니라도 한번쯤 개설서라도 짚고 넘어가야 할 책이다. <몸 공부>는 <황제내경>이 인간의 몸을 보는 사고틀, 기본 정신을 바탕으로 독자들이 유념해야 할 몸에 대한 교훈을 다뤘다. 동양학에 조예가 깊은 독자보다는 동양학에 관심을 갖게 된 독자들에게 도가적 몸 담론을, 한의학에 다가가고자 하는 일반 독자들에겐 동양의학의 관점을 쉽게 풀어쓴 입문서이다.

 

<몸 공부>에 따르면, <황제내경>은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통치자 '황제'와 신하' 기백'의 대화체로 이루어져 있지만 실제 저작은 기원 후 1세기 노장사상의 영향을 받은 한나라 시대로 본다. 황제와 노자를 묶어 '황로(黃老)학'이라 통칭할 정도이다. 노장사상의 영향을 받아 특히 기(氣)를 강조하는데, "기자 인지근본야(氣者 人之根本也), 백병생어기(百病生於氣)"(p.9), 즉 우주에 가득찬 에너지인 기가 인간의 근본이고 모든 병은 기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명시하였다.

 

책은 이러한 <황제내경>을 근본부터 차근히 풀어나간다. 과연 기(氣)란 무엇이며, 과거 서양에서 물질과 에너지를 분리했던 시각에서 물질 = 에너지 공식이 성립된 현대과학으로 왜 기가 근본이 되고 인간의 물질적인 신체에 영향을 주는지를 설명하고, 동양학의 기본틀인 음양, 오행의 관점을 쉽게 이해시킨다.

 

<황제내경> 이 말하는 병의 진행 4단계는 '마음 - 기 - 혈 - 병'(파동- 기체 - 액체- 고체) 순이다. 마음의 칠정(喜怒憂思悲驚恐- 기쁨, 분노, 근심, 생각, 슬픔, 놀람, 두려움)이 과하면 기가 뭉치고 나쁜 기운이 생긴다. 이것이 어혈을 만들어 결국 신체의 병이 생긴다는 원리이다. 그래서 실제 혈맥과 신체에 영향을 미치는 기가 상하면 만병의 근원이 되는 것이다. 물론 실제는 외상이나 전염 등 다양한 병의 원인이 있지만, 이러한 관점은 보다 적극적인 마음 수련과 호흡 운동 등을 통해 건강한 생활을 지향하게 한다. 이 점이 <황제내경>을 단순히 병리학서적이 아닌 우주와 유기적 관점에서의 양생(養生), 생명학서적으로 다루는 까닭이다.

 

현대인들은 스트레스, 각종 호르몬 불균형 등으로 인해 몸의 밸런스가 붕괴되고, 정신적 질환, 신경성 질병 등을 호소하기 때문에 더욱 유용하다. 자율신경계 이상으로 불면증, 심지어 불안장애와 공황장애를 호소하기도 하고, 만성피로로 곤욕을 치룬다. 암도 마찬가지다. 저자는 조기발견이라고 하지만 암세포가 직경 10mm가 되는 데는 십년 가까운 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황제의 말이다.

 

"가장 잘 치료하는 자는 피모(피부와 털)에서 치료하고/ 그 다음은 기육(살)에서 치료하고/ 그 다음은 근맥(근육과 혈맥)에서 치료하고/ 그 다음은 육부에서 치료하고/ 그 다음은 오장에서 치료하는데/ 오장에서 치료하면/ 반은 살고 반은 죽는다."(p.275)

 

실은 피모 이전에 기와 마음을 다스리는 것이 근본이다. 그래서 진정한 명의는 도(道)로써 치유한다고 책은 말한다. 정, 기, 신 삼보(三寶)를 보양하고, 수승화강의 원리로 자율신경계와 몸의 밸런스를 바로잡고, 저자가 말하는 "회광반조"를 통해 내면의 심연을 돌아보는 수행을 하면 어떨까 싶다. 노자의 '허정'과 장자의 '좌망', '심재'의 지혜로, 도로써 병의 근본을 치유하는 관점도 한번쯤 새겨들을 만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