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의 철학수업 - 정답이 없는 문제를 해결하는 생각법 세계 최고 인재들의 생각법 3
후쿠하라 마사히로 지음, 임해성 옮김 / 21세기북스 / 2016년 2월
평점 :
품절


'세계 1%', ' 세계 최고의 인재들은 왜 철학을 공부하는가?'라는 타이틀이 먼저 이목을 끈다. 글로벌 리더, 엘리트들은 '철학적 사고'에 단련되어 있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요즘 우리나라 기업의 인사담당자들도 하나같이 스펙 위주의 획일화된 인재에서 벗어나 직무이해력과 창의력을 가진 인재상을 원한다고 한다. 물론 스펙은 기본이다. 그러나 이제는 스펙으로 모자라 그 이상의 사고력을 요구하는 시대다. 저자 후쿠하라 마사히로는 철학적 사고력을 강조한다.

 

저자의 주장이 단순히 상투적으로 들리지 않는 이유는 저자 자신이 글로벌 엘리트였던 덕분이다. 세계 3대 경영대학원 중 하나인 유럽경영대학원 '인시아드'에서 MBA를 취득한 후 파리경영대학원 그랑제콜을 최우수로 졸업하였고,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에서 최연소 임원을 지냈다. 현재는 일본에서 세계 명문대 유학 지원 기관을 창업해 운영하고 있다.

 

저자가 처음 유학을 가서 인시아드 MBA 과정 중에 하위권에서 맴돌았으나 그랑제콜 최우수 졸업생으로 일신할 수 있었던 것은 '철학적 사고'를 익히고 활용한 덕분이라고 소회한다. 저자에게 철학적 사고란 구체적으로 '정답이 없는 문제에 관해 생각하는 것'(p.27)이다. 생각건대, 삶의 많은 문제들은 정답이 없는 경우가 많고, 스스로 사고하는 힘을 길러서 자신의 길을 개척해 나가야 한다. 특히 리더가 될수록 정답이 없는 문제에 봉착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국가적 차원에서도 단순히 선진국 모델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는 것에서 벗어나 주체적으로 선도해 나가야 할 역량이 필요해졌다. 보다 근본적으로 통찰하고 논리적으로 풀어나가는 해결력이 절실한데, 이러한 바탕에는 철학적 사고가 있으며, 교양이란 단순히 지식뿐만이 아니라 철학적 사고가 습관화된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본의 단답식 교육을 비판하는데, 이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특히 프랑스의 교육은 유치원 시절부터 '사랑이란 뭘까?', '자유는 뭐야?'와 같은 정답이 없는 철학적 질문들에 대한 답을 요구하고, 토론과 철학적 논술을 통해 자기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법을 훈련한다. 반면에 일본은 윤리시험마저도 윤리적 사고력 함양이 아닌 단답형 위주의 교육을 한다고 한탄한다. 다양성이 존중되지 않고, 질문이 활발히 이루어지지도 않는다. 철학적 사고란 정답이 없는 것이고, 정답이 없으니 다양한 의견이 존중된다. 다양한 의견 속에서 나의 사고와 주장이 더욱 다듬어지고 설득력을 높일 수 있는데, 단답식의 획일화된 교육 환경 속에서는 철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을 함양할 기회가 부족해진다.

 

물론 1%의 글로벌 인재의 조건이 단순히 철학적 사고만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글로벌 인재가 되는 '3가지 힘'은 '개인역량 X 언어 능력 X 조직력'을 꼽고 있다. 언어 능력은 말할 것도 없고, 조직력은 자신이 속한 커뮤니티의 힘이다. 소속 국가, 직장, 학벌, 조직, 인맥 등을 통틀어 조직력이라고 한다. 하지만 근본적인 관건은 개인의 역량이고, 역량을 함양하는 데는 철학적 사고가 첩경이다.

 

책은 왜 글로벌 리더들이 철학적 사고를 중요시하며, 글로벌 인재로 거듭나기 위해서 왜 철학적 사고가 필요한가를 역설한다. 학문으로서의 철학보다는 도구로서의 철학적 면모를 다루고 있는데, 특히 철학적 사고의 당위성에 많은 비중을 두었다. 한편으론 철학적 사고의 단계나 예를 통해서, 철학적 사고란 어떤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드러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도 남는다. 물론 저자의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문사철과 인문학적 교양의 필요성을 단순히 구호에 그치지 않고 체감할 수 있는 점은 십분 유익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