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그레이트북스 81
한나 아렌트 지음, 김선욱 옮김 / 한길사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은 유명한 정치철학자 한나 아렌트가 이스라엘 예루살렘에서 열린 아이히만의 전범 재판을 방청하고 르포 형식으로 언론에 기고한 글을 엮은 것입니다. 당시 이스라엘은 유태인 학살의 실무자 아이히만을 남미에서 체포하여 전범재판소가 아닌, 이스라엘의 법정에서 재판을 개최했습니다. 그만큼 이스라엘은 국가 차원에서 아이히만의 전범 재판에 큰 의의를 두고 있었는데, 유태인 출신의 한나 아렌트는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기고하여 이러한 전범 재판의 풍경과 2차 세계대전 당시 유태인의 나치 부역 문제를 꼬집어 이스라엘에서 논란이 되었다고 합니다. 역자의 설명에 따르면, 이스라엘에서 한나 아렌트의 저서는 오랫동안 금서로 지정되었을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이 독자들에게 많이 회자되는 것은 무엇보다 책의 부제인 '악의 평범성에 관한 보고서'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유시민의 '후불제 민주주의'나 박경철이 지식인 서재 등 많은 지식인들이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이야기하는 이유도 그것에 있습니다. 이스라엘과 2차 세계대전의 역사적 특수성 뿐만 아니라, 인간의 근본적이고 보편적인 문제 중 하나인 악에 대한 통찰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악의 평상성'이란 개념은 책의 말미에 저자의 평처럼 나옵니다만, 지나칠 수 없는 섬득함을 줍니다.

 

재판을 방청하면서, 한나 아렌트는 아이히만이 그저 평범한 사람이었다고 판단합니다. 자기의 직위와 상명을 충실히 이행했고, 특별히 역사에 기록될 만한 학살을 집행할 만한 악의도 없었습니다. 도리어 학살을 집행할 때 죄책감을 느끼지 않았느냐고 물었을 때, 명령을 수행하지 않았다면 더 큰 죄책감을 느꼈을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도리어 어떤 충격으로 다가왔는데, 한나 아렌트는 '무능성'에서 기인한다고 짚었습니다.

 

무능성이란, 생각과 판단, 말의 무능성입니다. 사고와 성찰의 능력이 부족하며, 그리고 말의 무능이란 어떠한 철학적 개념이나 새로운 언어를 받아들이기에 무능한 점입니다. 어찌보면 현대인과 다르지 않은 일상인(das man)의 사소한 특징들이 아이히만을 1급 전범 유태인 학살자로 만들었다고 설명합니다. '악'이란 이렇듯 평범하다고 말입니다.

 

이러한 악에 평상성에 대한 보편적 통찰은 독자를 성찰하게 합니다. 과연 자신이 아이히만의 직위에 있었다면, 상명을 지켜야 했다면 자신은 합리적 사고에 근거하여 다른 결정을 내릴 수 있었겠느냐는 고민입니다. 사실 스텐리 밀그램의 전기 충격 실험, '루시퍼 이펙트'의 스텐퍼드 대학의 감옥 실험 등 여러가지 심리학적 실험과 연구를 통해서 인간의 합리적 면모가 얼마나 취약한지 반성하게 합니다.

 

그렇기에, 인간은 끊임없이 성찰하고 철학을 해야 합니다. 하이데거의 '일상인(das man)' 처럼 - 하이데거는 한나 아렌트의 스승이자 연인이었는데, 하이데거의 나치 부역문제로 인하여 결별하였다고 합니다 - 그저 평준화된 생활 속에서 존재적 회의와 성찰을 그만둔 채, 일차원적 삶을 사는 것은 그 자체로 악을 내포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묻지마 범죄, 참혹한 성범죄 등 극단적인 사건 사고들이 끊임없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건 사고, 또한 종교적 아집으로 인한 사회적 물의가 무능함에 기인하는 것은 아닌지, 소통과 공론의 장은 부족하고 경쟁으로만 치닫는 사회는 무능함을 도리어 부추기지는 않는지 고민해 봐야 합니다. 성찰과 철학이 아쉽습니다.

 

샌델 교수의 정의란 무엇인가가 이슈가 되고, 정치권도 경제 정의, 경제민주화가 주요 주제로 떠올랐습니다. 이미 사회가 정의롭지 못하다는 인식이 커졌다는 반증이며, 국민들의 정의에 대한 갈망의 방증입니다. 하지만 아이히만이 일깨워주듯, 악은 저 먼 곳에 있지 않고 평범합니다. 인간이 가진 악의 평상성이야말로 두려운 것이 아닐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