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주 친밀한 폭력 - 여성주의와 가정 폭력
정희진 지음 / 교양인 / 2016년 10월
평점 :
나는 남편에게 맞는 여자를 본 적이 있었고, 때리는 남편을 본 적이 있습니다. 단수로 표현했지만, 그 단수들은 모여 복수를 만들고, 그 복수는 또다시 커다란 하나의 단수를 만듭니다. 사회적 통념이라는 단수를 말이에요.
맞는다는 물리적 폭력도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 어느 정도는 폭력이 아니라고 여기고, 언어적, 정신적 폭력은 아예 폭력의 범주에 넣지 않는 모양입니다. 어쩌다 뺨 한 대 맞은 거 가지고 폭력을 당했다고 말하지 않거든요.(어쩌다는 괜찮은 겁니까?) 게다가 여자가 원인을 제공했다고 생각한 경우, 맞을만했다고 여기고 서로 넘어가기도 합니다. 서로 사랑해서 결혼해서 살아가는 사이에서 폭력이 발생하는 건 살다가 지겨워져서 벌어지는 일이 아니라 놀랍게도 결혼 후 3개월 이내에 첫 번째 폭력 상황이 벌어진다고 하는데요. 어디다 하소연해도 이만한 일로 흥분하는 거 아니라며 여자 보고 참으라고 하는 경우가 허다하지요.
<아주 친밀한 폭력>은 <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의 개정판인데요. 처음 그 책이 출판된 지 11년이 지났으니 지금은 상황이 좀 나아졌을까요? 아뇨.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11년 전이라고 하니 갑자기 가슴이 아프네요. 저는 당시, 가정 폭력의 피해를 입고 긴급 피난한 분들과 함께 한 적이 있었습니다. 사연도 정말 다양하더군요. 주먹세례부터 성적인 모멸감까지 고통의 종류도 다양했습니다만, 깊은 상처를 갖게 되었다는 것만큼은 공통적이었어요. 가정에서 있었던 이야기를 길게 하지는 않지만 눈빛에서 느껴지는 우울감과 불안감만큼은 서로가 알 수 있을 정도였는데요. 그것은 상담으로도 치유되지 않습니다. 단지 그 피난처에서 마음을 추스르고 생각하고 안정을 취할 시간을 가지는 것이었죠. 그리고 몇 달 뒤 각자의 길로 떠납니다. 독립하는 경우도 있고, 가정으로 돌아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병원에 실려가야 할 정도로 맞고도 집으로 돌아가는 사람이 이해되지 않았지만 그것도 일종의 학습된 무기력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남자들이 아내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이유는 참으로 다양합니다. 전자레인지를 사달라고 했다는 이유로, 말을 예쁘게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술 먹고 들어왔는데 귀찮아했다는 이유로, 성관계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김을 밀폐 용기에 넣어두지 않았다는 이유로. 폭력 후 며칠이 지나 미안한 마음에 화해를 시도했지만, 거부했다는 이유로, 된장찌개가 먹고 싶었는데 오므라이스를 했다는 이유로. 그냥 비위 맞춰주면 맞을 일도 없을 텐데 왜 매를 버느냐고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핑계일 뿐이에요. 맞을 만한 짓은 도처에 널려있고, 이번에 잘 넘어가더라도 다음에는 맞을 일로 치부될 수 있으니 장단을 맞출 수 없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폭력의 모습들도 너무나 다양했는데, <아주 친밀한 폭력>을 통해 바라본 아내 폭력의 세계는 끔찍하고 슬펐습니다. 그리고 화가 났습니다. 머리말부터 슬프면 어쩌자는 건가요. 여자를 때리는 놈은 쓰레기라는 인식이 생겨서 이젠 때리는 남자가 줄었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때리지는 않고 목을 조르거나 벌을 세우더군요. 그건 때리지 않았으니 폭력이 아니라고요. 무슨 소리입니까. 본인이 당해보세요. 폭력인가 아닌가.
부부간의 지독한 폭력의 희생자는 주로 아내이지만, 가장 큰 피해자는 아이들입니다. 그러니 아이 때문에 참고 산다는 생각은 하지 말아주세요. 아이는 자라면서 때리는 아빠가 아니라 맞는 엄마를 원망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엄마가 좀 조심하면 집안이 조용할 텐데 왜 풍파를 일으킬까 하면서 말이에요. 왜 그런 생각을 할까요? 무섭기 때문입니다. 아빠를 원망하기엔 너무 크고 두려운 존재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무력한 엄마를 원망하는 거죠. 물론 엄마를 안타깝게 여기고 아빠에게 분노를 키우는 아이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건 정상일까요?
<아주 친밀한 폭력>은 누구나 한 번쯤 읽어볼 만한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서로 사이좋게 잘 살아가는 부부도, 전쟁을 치르고 있는 부부도. 가부장적이라고 말하며 그냥 넘어가버리는 그런 사회적인 분위기가 과연 옳은 것인가도 생각해보고, 가정폭력이 은폐되거나 부부 사이의 일로 여기며 더 큰 사단을 만드는 이 사회의 흐름이 옳은 것인가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