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9개의 말·프라하, 사라져 가는 시
밀란 쿤데라 지음, 김병욱 옮김 / 민음사 / 2025년 6월
평점 :

"이 글은 민음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농담> 등으로
너무나 잘 알려진 밀란 쿤데라.
위대한 체코 작가로 불리고 있지만,
작가이자 한 사람으로서 그의 인생은
결코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조국인 체코로부터 프랑스로의 망명,
'말할 자유'를 찾아 떠났지만 다른 언어에서 오는
표현의 차이는 그를 몸살을 앓게 했다.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바가 아닌
번역가의 마음으로 표현된 작품을 보며
그는 프랑스어로 직접 작품을 집필하기도 했으며,
자신의 작품에서 쓰인 또 마음에 들거나 놓치고 싶지 않은
표현들을 모아 나만의 사전을 만들기에 이른다.
<89개의 말 프라하, 사라져 가는 시>는
그런 표현의 자유를 갈망한 그의 몸부림이자
고국에 대한 그리움, 그러면서도 우월했던
문화에 대한 자부심으로 꽉 차있는
밀란 쿤데라의 유고작이다.
이 책은 두 편의 산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89개의 말》은 쿤데라가 중요하게 여긴
단어들을 정리한 철학적 소사전이고
《프라하, 사라져 가는 시》는 프라하의 문화적 유산과
소국의 감수성에 대한 에세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체코에서 태어나 체코어로 초기 작품을 썼지만,
그의 소설이 공산주의 체제를 비판하는
대표적인 작품이라는 평을 받으며
체제에 대한 반발로 받아들여지며 금서가 되고
조국에서 배제된 작가가 된다.
번역을 충실할 때만이 아름답기 때문이다. 참된 번역가를 만드는 건 충실성에 대한 열정이다! 이를 깨닫고서, 수년 전에 나는 내 책의 외국어 판본들을 바로잡아야겠다고 결심했다. 그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말의 자유, 표현의 자유를 찾기 위해 망명을 하지만
이후로는 문학적 보편성과 인간 존재에 대한
탐구를 중심으로 두게 되었다.
하지만 늘 마음 한편에는 지울 수 없는
조국에 대한 그리움과 상처가 담겨있는데,
<89개의 말 · 프라하, 사라져 가는 시>는
그가 정리한 사전 속 단어들의 정의와
프랑스 망명 초기에 쓴 에세이를 통해
그의 세계관을 통과하는 가장 근본적인 메시지를 담으며
밀란 쿤데라의 디아스포라적 요소를
한껏 느끼게 해주었다.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는 지금의 우리는
그가 마주한 '말의 자유'와 '말의 무게'를
체감하기가 어렵다.
나의 표현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번역 앞에서
자유를 위해 떠나기를 택한 자신의 선택임에도
조국의 언어와 문화를 그리워하는 그의 마음이
얼마나 복잡했을지 생각만으로도 먹먹해진다.
하지만 작가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표현의 자유'를
선택한 것은 끝끝내 작가로 살기로 한
그의 각오이자 다짐으로, 그런 그리움마저 써 내려가며
스스로의 아픔을 하나의 요소로 승화시킨다.
그가 말하는 단어들의 의미,
그리고 조국인 체코 프라하의 문화와
끝끝내 표현하는 사람으로 존재하고자 하는 의지까지
한껏 쿤데라의 세계관을 느낄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그의 작품을 통해, 그가 말하고자 하는 자유를 읽고
그 자유를 통해 그의 삶 전체를 관통하는 세계관을
독자들도 마주하게 된다.
비로소 그 세계관을 이해하면서 가지처럼 뻗어 연결된
그의 작품을 이해하는 기회 또한 얻을 수 있고 말이다.
그가 프랑스 작가인지, 체코 작가인지
스스로 어느 나라의 작가로 생각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그는 말하고 쓰기를 선택했고, 결국 이렇게 남았다.
지금의 우리는 그의 남은 흔적을 통해
그토록 지키고자 했던 그의 자유를 만끽함으로써
비로소 그가 자유롭게 존재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어쩌면 그의 글 중 가장 솔직하고 개인적일 수도 있었던,
그의 존재를 가장 생생하게 느낄 수 있게 해주는
<89개의 말 프라하, 사라져 가는 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