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실 - 완벽이란 이름 아래 사라진 나에 대한 기록
송혜승 지음, 고정아 옮김 / 디플롯 / 2025년 10월
평점 :

"이 글은 디플롯으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도실 DOCILE.
유순한, 고분고분한이라는 뜻을 가진 이 단어는
동양계 여자아이들을 묘사하는 말로 많이 쓰이기도 한다.
유달리 순종적이고 모나지 않은
틀에 갇힌 안정적인 삶을 사회적인 시선이나
가정의 울타리에서 강요 아닌 강요로,
학습된 목표로 인식하고 있는 그녀들에게
'자신'이란 존재는 스스로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또 그들의 세계는 어떤 모습인지
읽는 내내 골똘히 생각하게 한 책을 만났다.
아니 소설이라고 해도 믿을법한 이 이야기는
굵직한 사건들을 개인의 관점에서 마주한 이야기이자,
자신을 찾기 위한 여정을 떠난 노력이기도 하다.
한국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자란,
송혜승이 쓴 <도실>이다.
아이들은 부모의 감정을 고스란히 먹고 자란다.
특히 너무나 착한 아이들은 일찌감치 철이 든 나머지
그런 감정들이 아이에게 맞지 않거나
그를 좀먹는 상황에서도 기꺼이 부모의 그것을
먹고 삼키며 어떻게든 이해하려 자신을 바꾼다.
지극히 순응적인 이들만이 감내해야 하는
고통과 혼란의 가장 적나라한 모습이 바로
이 책을 통해 만난 작가의 시간 그 자체가 아닐까.
아메리칸드림을 꿈꾸며 떠난 타국에서
'아이'가 할 수 있는 선택이란 아무것도 없었다.
집이나 동네의 환경, 낯선 풍경이 주는 두려움,
피부와 언어가 다른 이들이 주는 차별이라는 날카로움도
그저 "성공을 위한 희생과 노력"이라는 이름 앞에
당연히 감내하고 받아들여야 하는 것으로 다가온다.
어린 혜승은 너무나 착했고 순종적이었으며,
엄마의 감정을 끌어안는 것이 자신의 사랑이라 생각하며
수많은 틀어짐과는 달리 자신은 엄마의 믿음에
부응하겠다며 자신이 빠진 자신의 삶을 살기 시작한다.
누구나 들으면 알 수 있는 이름 있는 학교로의 진학,
훌륭한 성적, 이민자라는 한계와 차별을 넘어선 성과들은
그녀의 만족뿐 아니라, 엄마의 기준에도 미치지 못했다.
잘한 것에 대한 칭찬보다는
더 하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
포기해야 하는 많은 것들 속에서
작가는 점점 자신이라는 존재의 의미를 잃어버리곤 한다.
벗어나고 싶은 현실, 도망치듯 떨어졌다가도
이내 죄송하다는 말과 함께 그녀는 엄마의 곁으로,
자신을 잃게 하는 일상 속으로 돌아오고 만다.
10년이 넘는 시간이 지나서야 비로소
자신을 제대로 바라보게 되었고,
잃어버린 자신의 세계를 찾기 위해
혜승은 한 발자국, 한 발자국을 내디디며
완벽이라는 이름에 갇힌 자신을 구하기 시작한다
그런 그녀의 여정을 함께하며
진정한 성공과 행복에 대해
스스로의 기준을 세우고 돌아볼 수 있었고,
오랜 방황과 우울 속에 있는 그녀의 손을
가만히 잡아주고 싶어졌다.
나이를 먹는다고 온전히 독립한 '자신'으로
존재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세상의 기대, 평가 앞에서 흔들리지 않고
있을 수 있는 '나'를 발견할 때
비로소 나의 세계에서 나로 존재할 수 있게 된다.
그런 과정에 이르기까지 너무나 힘들었고,
제대로 바라보지 못해 자신을 없애버리려고 했던
작가의 이야기는 자신과 같은 처지에 있는
너무나 온순한 여성들을 위한 진한 고백과도 같았다.
삶의 가치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게 한
솔직하고도 깊은 내면의 이야기,
한 사람으로 그중에서도 여성으로서
직접 싸우며 체득했던 위로를 가득 전하는
잔인하고 아름다웠던 책 <도실>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