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검은 불꽃과 빨간 폭스바겐 - 낯선 경험으로 힘차게 향하는 지금 이 순간
조승리 지음 / 세미콜론 / 2025년 4월
평점 :


보이지 않는다는 것에 대해서는 상상조차 할 수 없다.
영화나 공연이 시작하기 전, 혹은 어떤 이벤트를 앞두고
칠흑 같은 어두움이 찾아오면
기대감으로 마음속엔 흥분이 피어오른다.
하지만 '더 이상 볼 수 없다'는 시각장애 앞에서
이 칠흑 같은 어두움이라는 이 이벤트는
그저 두려움이라는 감정으로 다가오지 않을까?
전작 〈이 지랄맞음이 쌓여 축제가 되겠지〉를 통해
시각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자신의 인생을
씩씩하게 펼쳐낸 조승리 작가의 신작이 나왔다.
그의 글을 통해서 내가 가져온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그들의 삶에 대한 동정을 벗어나
사람 대 사람으로 그들의 인생 자체를
건강한 시선으로 응원할 수 있었는데,
이번에 만나본 신작은 밝고 씩씩하기만 할 것 같았던
조승리 작가의 힘들고 어두웠던 순간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힘을 주었던
'살아있다는 감각'을 함께 느끼며
나의 인생을 살아가는 방향마저도 생각할 수 있었다.
신체적 불편함을 가지고 있지만
다양한 활동을 하며 매체로 만나온 장애인들을 통해
우리들의 시각이 달라졌다고는 하지만,
그들이 살아가는 세상은 여전히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여전히 불편하고 여전히 환영받지 못하며
많은 제약이 더해진다.
직업의 선택도, 여행의 자유도, 이동의 자유도
그 어느 하나 그들에게는 쉽게 허용되는 것이 없었다.
특히나 후천적 시각장애로 이 '어둠'에 순응하고
자신을 변화시켜야 하는 작가에게
제약과 제한이라는 것은 더욱 가속도가 붙어 다가왔다.
이 또한 자신에게 주어진 삶이자 나의 몫이기에
그것들을 받아들이며 순응하던 작가는
어느 순간 먹는 즐거움도 자신에 대한 애정도 없이
그저 살아내고 있다는 무력감에 빠진다.
그런 작가를 끌어내고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던 것은
'낯선 곳으로의 여행' 그리고
그 생경했던 풍경 속에서 느낀 따스함이었다.
남들과 달리 한정된 선택지 안에서
꿈과는 관계없이 안마사라는 직업으로
하루하루를 그저 살아내던 작가는
'보이지도 않는' 여행을 떠나서 오감을 통해
그곳들을 느끼고 마음속의 눈으로 바라보며
자신을 둘러싼 '살아있다는 감각'을 느끼게 된다.
더 이상 정체하거나 무력하지 않고,
씩씩한 작가를 만들어낸 순간들의 기억은
불평불만투성이에 반복되는 무력감으로
우리에게 주어진 무탈한 행복이 주는 소중함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해주었다.
책 속에서 인상 깊었던 표현이 있다.
전맹 시각장애인인 작가는
오디오북을 통해 책을 접한다.
'오디오북을 읽는다'는 작가의 표현에서
신선함을 느꼈는데,
이런 사소한 표현에서부터 가진 나의 편견을 비롯해
시각장애를 가진 이들에게 주어지는
세상의 높은 허들이 얼마나 벅차고 힘들었을지
작가의 마음 높이에서 함께 살펴볼 수 있었다.
부러 낯설고 힘든 곳으로 떠났던 여행,
안마사 일을 하면서 느꼈던 감정들,
작가는 자신의 치부와 생각을 낱낱이 털어놓으며
크게 얘기한다 '나는 여기 살아있다, 살고 있다'
라고 말이다.
전작을 통해서는 많이 웃기도 했었는데
이번 책을 읽으면서는 많이 울컥했다.
이런 울컥한 감정들을 느끼는 독자들 앞에서
작가는 보란 듯이 더 씩씩한 모습을 보이며
"불꽃 따위 안 보여도 난 잘 먹고 잘 살 거다.
이 더러운 세상아!"라고 깔깔거리며 말한다.
이런 멋짐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
이런 용기는 타고나는 걸까?
작가의 운명을 타고난 것 같았던 그녀가
사실은 높고 보이지 않는 벽을 넘기 위해
엄청난 몸부림을 쳤다는 것,
그런 자신에게 끊임없이
스스로 응원을 하고 있다는 사실에
뒤늦게 그녀의 글을 보고 울고 웃으며
그저 박수를 더하는 것 밖에는 할 수 있는 일이 없어서
나는 또 내 인생이 부끄러워진다.
타인의 불행이나 어려움 앞에서
그에 비해 평온한 나의 인생을
상대적 행복이라 규정짓고 싶지 않다.
모두에게 똑같이 주어진 인생,
누가 누구를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며 동정하기보다
한 사람으로서 제 몫을 다할 수 있도록
묵묵한 응원을 더하기를 바란다.
조승리 작가의 글은 그런 힘이 가득했고,
그 글을 통해 나는 내 삶을 바꾸는 힘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