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이 이상해요 - 오경 난제 해설
차준희 지음 / 새물결플러스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세기 2-3장을 보면 "죄로 인한 죽음"죄의 심판으로서의 죽음과
"자연 질서로서의 죽음"(피조물로서의 죽음)이 서로 명백하게 구분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창세기 2:7 3:19 이 "피조물로서의 죽음"을 가리키고 있다면 창세기 2:17은 "죄의 심판으로서의 죽음"을 말하고 있다. 그리하여 요한계시록의 저자는 죄에 대한 벌로 받은 "죄로 인한 죽음을 둘째 사망이라고 부르고, 하나님의 창조 질서에 따른 "자연 질서로서의 죽음"을 첫째 사망이라고 부른다 - P41

하나님의 한탄(후회)은 하나님에게 인간의 감정을 이입해 하나님의 역사 행위를 설명하는 일종의 신인동감론(神人同感, anthropopathism)적표현이다. 구약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에 대한 인간적이고 직관적인 표현들은 결코 하나님을 인간과 같은 수준으로 끌어내리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인간이 하나님께 더 잘 접근할 수 있도록 하려는 표현이다. 그러한 표현들은 하나님을 인격적으로 나타냄으로써 하나님을 정적이고무관심한 추상적 관념으로 보 - P65

레위기 19장이 말하는 "거룩함"이란 한마디로 18절에서 "네 이웃 사랑하기를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고 한 것처럼 우리의 이웃을 사랑하는것을 뜻한다. "이웃사랑" 이라는 계명은 신약성경에서도 자주 인용된다. - P179

미리암과 아론은 야웨 하나님이 오직 모세와"만" 말씀하시는 것이 아
"나라 자신들과 "도" 말씀하시는 분임을 강조한다. 미리암과 아론은 모세의 우월적 지도력에 문제를 제기한다.
모세는 이러한 비난을 묵묵히 수용하고 아무런 변명도 하지 않는다. 본문의 저자는 "이 사람 모세는 온유함이 지면의 모든 사람보다 더하더라" (민 12:3)라는 언급을 통하여 이들의 비방이 정당하지 않음을 간접적으로 밝히고 있을 뿐이다. 여기서 "온유함, 아나)이란 일반적인 유순한 성격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낮추는 겸손이나 하나님에 대한 절대적 의존 혹은 헌신을 지칭한다 - P187

정리하면 구약성경의 십일조에는 세 가지 종류 혹은 용도가 있었다. 제사장의 생활비용 십일조, 제사 경비용 십일조 약자용 십일조가그것이다. 십일조는 옛 언약의 이상적 신앙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하여주어진 아름다운 규약이다. 그러나 새 언약의 성도는 구약의 용도나 율법적인 의미에서 십일조를 내지 않는다. 그 대신 다른 율법 조항과 마찬가지로 율법의 정신을 따라서 복음과 하나님 나라를 위해 정성껏 헌금을 한다. 오늘날의 교회는 구약성경의 율법으로서의 십일조가 아니라 "교회 전통으로서의 십일조"를 드린다. 십일조를 크게 보면 교회 안의 공동체를 세우는 일(제사장용과 제사용 십일조)과 교회밖의 약자를 세우는 일(약자용 십일조)에 쓰이는 거룩한 물질이다. - P2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