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콰이어트 Quiet - 시끄러운 세상에서 조용히 세상을 움직이는 힘
수전 케인 지음, 김우열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좀 거칠게 말하자면, 세상은 두 부류의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향적인 사람, 그리고 내향적인 사람. 각각의 장단점도 있다. 외향적인 사람이 사교적이고, 나서기 좋아하고, 자신감 있다면, 내향적인 사람은 사색적이고, 신중하고, 사려 깊다. 공동체가 형성되고, 발전하는 데는 두 가지 성격, 두 부류의 사람이 모두 필요하다. 당연히 둘 사이에는 좋고 나쁨이 없다. 다만 상황에 따른 반응의 차이가 존재할 뿐이다. 그러나 세간의 평가가 꼭 그렇지만은 않다. 적어도 내향적인 사람은 그런 사실을 잘 알고 있으리라. 내향적인 사람은 내향적인 그들의 성격 때문에 자라면서 부당한 대우와 평가를 줄곧 받아왔을 테니까 말이다.
사람들이 외향적인 성격을 더 매력적이라고 느끼는 게 이상한 일은 아니다. 특히 현대사회에 들어서 경쟁이 심화되고, 사회구성원들끼리의 의사소통이 중시되면서 외향적인 사람이 관계를 주도하고 조직의 지도자가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 되었다. 그렇다고 내향적인 사람을 낮춰 보는 것은 전혀 다른 얘기다. 그들도 현대사회에서 자신의 몫을 해낸다. 혼자서, 조용히 말이다. 그러나 대외적인 모습과 행동을 기준으로 그들을 ‘부적응’, ‘사회성 결여’, ‘문제적 성격’ 등으로 쉽게 규정해 버린다.
수전 케인도 저평가에 시달렸던 사람이다. 조용한 책벌레였던 그녀는 그런 평가에 저항하기 위해 프린스턴과 하버드 법대를 나와서 증권가의 변호사가 되었다. ‘외향성 이상주의’ 사회가 바라는 꿈의 직업인이 된 것이다. 하지만 그 일이 자신의 본성에 맞지 않음을 깨닫는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아무리 바꾸려고 해도 내향적인 본성은 도저히 바꿀 수 없었던 것이다. 그녀는 결국 자신의 본성을 받아들였고, 그에 관해 사색하고 연구하기 시작했다. 『콰이어트』는 내향성에 대한 수전 케인의 지난한 연구의 결과다. 전적으로 그녀가 조용한 사색가였기 때문에 가능했을 노작이라 할만하다.
수전 케인은 우선 사회가 외향성 이상주의가 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 폐해를 지적한다. 그리고 내향성과 내향적인 사람이 오히려 세상을 변화시킨 다양한 사례와 연구 결과를 보여 준다. 그녀는 협업과 토의를 중시하는 현대의 조직 사회가 내향적인 사람을 억압하고, 그가 지닌 재능을 제한한다고 말한다. 그런 조직구도와 내향성에 대한 편견을 버릴 것을 제안한다. 그러면서 내향적인 사람이 본성을 유지하면서도 사람과 소통하는 방법에 대해 조언하는 것도 잊지 않는다.
‘내향성의 힘’이라는 제목으로 그녀가 TED에서 강연한 내용을 TED 홈페이지와 유튜브(한글자막)에서 감상할 수 있다. 능숙한 다른 강연자들과 달리 그녀는 다소 서툴고, 말끝은 가늘게 떨린다. 하지만 그 ‘떨림’에서 우리는 본성에 대한 그녀의 믿음과 진정성을 발견한다. 그녀의 주장을 흔한 자기계발서류의 메시지로 치부할 수 없는 이유도 거기에 있다. 강연의 마지막 말은 퍽 감동적이니, 여기에 옮겨 본다. “당신은 당신의 가방 속에 무엇이 들었는지 남들에게 보여주기 싫을지 몰라요. 그래도 괜찮아요. 하지만 아주 가끔은 가방 안을 남들에게도 보여주세요. 세상은 당신이 가진 바로 그걸 필요로 하니까요.”
- 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