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전 창비세계문학 40
마리오 베네데티 지음, 김현균 옮김 / 창비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13일 금요일


나는 일기 쓰는 걸 관둔지 20년도 훨씬 지난 사람이라, 날짜를 적는 걸로 글을 시작하려니 퍽 어색하다. 그러나 마리오 베네데띠의 휴전을 소개하는 이 글 만큼은 이렇게 시작하리라 진작 마음먹은 터였다. 비단 내가 일기 형식의 이 소설에 깊이 매료되었기 때문만은 아니다. 소설을 읽으며 어느새 나는 글 앞에 특정한 시간을 못 박는 것이 의미 있는 일이라 믿게 되었기 때문이다. 비록 이 글은 일기는 아닐지라도, 내 일대기(그런 게 있다면)에 지금 이 시간이 하나의 기록으로 남을 터이다. 이를테면 이런 식으로. ‘휴전을 읽고 313일에 이 글을 씀’ (그러고 보니 이게 바로 일기(日記)인 것 아닐까?)


소설 휴전은 이제 퇴직을 6개월여 앞둔 중년 남성, 마르띤 산또메에 관한 이야기이다. 소설 전체가 마르띤 산또메가 쓴 일기로 이루어 졌다는 점이 이 소설의 가장 큰 특징인데, 그렇다면 소설의 형식으로써 일기라는 건 무얼 의미하는 걸까? 그게 그냥 1인칭 시점의 변주 정도는 아닌 것이 분명한데 말이다. 나는 이러한 형식이 소설의 서사 뿐 아니라 독자의 태도에 영향을 준다고 믿는다. 말하자면 이런 것이다. 독자는 마르띤 산또메라는 이름의 남자가 쓴 일기로 소설의 서사를 접하게 되는데, 이 서사라는 것은 결국 마르띤 산또메가 무료한 일상을 반복하며 그가 보고, 느끼고, 생각한 바를 기록한 것이다. 타인의 일기는 그냥, 몰래, 훔쳐보듯 읽는 것이지, 진지한 비평의 대상은 못 된다. 그러니 이 소설, 휴전을 읽다 보면, 진지한 독자로서의 태도는 일부 저버리게 되는 것이다. 판단하고, 기대하고, 예측하기보다, 그저 무언가 일어나길 기다리게 된다. 나는 이것이 독특한 독서 경험이라 생각하는데, 게다가 이것은 인생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와도 거의 근사한 것이다.

 

마르띤 산또메는 법정 퇴직연령에 따라 퇴직을 반년 앞둔 남자이다. 또 오래전에 상처하여 홀로 세 남매를 키운 홀아비이기도 하다. 말하자면 그는 젊어서부터 어지간히 세파에 시달릴 대로 시달린 인물로, 이제는 삶에 애착이나 미련도 더 이상 남아 있지 않은 시점에 이른 것이다. 그런 사실을 증명이라도 하듯, 소설의 전반부는 삶에 대한 권태와 무감각으로 무겁게 침잠해 있다. 만약 이 소설이 그의 젊었던 한 때, 즉 아내를 잃기 전과 후를 다루었다면, 휴전은 인생의 부조리에 관한 아주 뜨거운 이야기가 되었을 법도 하다. 그랬다면 소설의 제목도 휴전이 아닌, ‘전쟁이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휴전은 마르띤 산또메가 세파에 정신적·육체적으로 완전히 고갈되길 기다린 다음, 이렇게 이야기를 시작하는 것이다.

 

211일 월요일

이제 퇴직까지 6개월 28일밖에 남지 않았다. 그날을 손꼽아 기다린 지 어느덧 5년이 넘었다. ()

 

이런 문장으로 시작하는 소설이 권태와 무료함으로 가득하리라는 것은 지당한 예측이다. 그리고 실제로 소설 전반부는 그렇게 진행된다. 그런데 어느 시점에서 소설의 분위기는 독자가 전혀 기대 못한 방식으로 반전된다. 우리의 마르띤 산또메 역시 자신의 인생이 이런 식으로 전개될지는 예상하지 못 했다.

 

52일 목요일

() 그전에 도대체 나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해야만 한다. 이 나이에 갑자기 나타난 딱히 예쁘지도 않은 아가씨에게 마음을 빼앗긴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 아닌가. 그러나 한 가지 확실한 건, 지금 내가 사춘기 소년처럼 안절부절못한다는 것이다. ()

 

이 시점에서 소설은, 다소 부적절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낭만을 느낄 수 있는 사랑 이야기로 탈바꿈한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아주 극적이란 생각이 들지는 않는다. 그렇게 되기까지 마르띤 산또메가 감정을 새로이 쌓아가는 모습을, 그가 쓴 글에서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이 소설이 일기 형식인 것이 특징이고, 그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어쩌면 이 이야기는 일기이기 때문에 가능한 이야기이라 말해볼 수도 있다. 일기란 매일의 기록이 쌓여서 커다란 일대기를 만들어 내는 글타래이다. 이 일대기의 결말이 어떤 모습일지, 일기 초반이나 중반에는 결코 알 수 없다. 하루라는 시간 단위에 매달려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형식의 소설은 특별히 시간의 흐름에 강박적으로 매달리지 않는 이상, 소설의 초반과 결말이 쉽게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서술자는 넌지시 결말을 암시하기 까지 한다.


그렇다면 이 소설에서 마르띤 산또메는 어떤가? 그저 퇴직을 간절히 기다려온 이 남자가 또 다른 사랑과, 행복과, 절망을 과연 꿈꿔보기나 했을까? 또 다시 운명에 휘말릴 걸 알았을까? 그는 몰랐다. 만약 알았으면 그는 결코……. 소설을 다 읽고 덮은 지금에서 나는, 휴전이 인생의 아이러니에 대한 이야기이며, 우리의 인생과도 무척 닮았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래서 나는 마르띤 산또메에게 동지애마저 느끼는 것이다.


인생이 전쟁과 같다고 말하는 것은 너무 흔한 비유라고 생각되지만, 또 그만큼 적절한 비유도 없다. 마르띤 산또메는 이 전쟁을 꽤 오랫동안 치룬 사람이다. 전쟁이 끝났다고 생각했던 순간도 있었지만, 돌이켜 보면 잠시 허락된 휴전일 뿐이었다. 퇴직으로도 그의 전쟁은 끝나지 않은 듯하다. 그는 계속 불행과 싸울 것이고, 나는 또 나의 전쟁을 준비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구에게나 아무것도 아닌 햄버거의 역사
조현 지음 / 민음사 / 2011년 8월
평점 :
품절


시는 세상을 바꿀 수 없다. 이렇게 말하면 너무 단정적일까? 하지만 현실이 그렇다. 적어도 지금까지는 그래왔다. 시가 세상을 바꿔왔다면, 세상이 지금의 모습은 아니어야 한다. 충분히 아름답지는 않아도, 비유와 은유가 넘치는 그런 세상이어야 할 텐데, 별로 그런 것 같지는 않다. 시가 세상을 바꿀 수 없다는 가장 큰 증거, 세상을 보라.

말하자면, 시가 세상을 바꿀 수는 없다. 사람들이 시를 읽지 않는 바에야, 그건 애당초 불가능한 상상이다. 문학은 줄곧 세계의 창이나 거울 노릇을 자임해 왔지만, 사람들은 문학을 통해 투과되거나 반사된 이미지가 아니라,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길 더 좋아했다. 아니면 현실에 매몰돼 현실 밖에 보질 못했다. 문학의 자리는 좁아졌고, 앞으로도 좁아질 것이다. 하물며 시는, 말할 것도 없고.

문학이나 시가 처한 현실이 암담하긴 하다. 믿기 어렵겠지만, 그래도 세상엔 여전히 시의 힘을 믿는 이들이 있다. 적어도 시인들은 그럴 것이고, 시 애호가들은 그럴 것이다. 그들에겐 대다수 사람들이 시를 읽지 않는다는 현실은 아무런 장애도 되지 않는다. 이미 그들의 세계는 시로 요동치고 있으므로, 그 운동을 어떻게 전이할 것인가가 진정 문제일 따름이다.
그런 믿음은 상상력이 더해져 어떤 구체적인 형태로 드러나기 마련이다. 이를테면, 조현의 소설 「누구에게나 아무것도 아닌 햄버거의 역사」와 같은 작품이 그런 노골적인 믿음을 숨기지 않는다.

「누구에게나 아무것도 아닌 햄버거의 역사」는 이른바 평행우주를 다룬 작품이다. 작가가 다소 뻔뻔하게 전개해 나가는 작중의 우주는, 우리가 사는 우주와 비슷한 듯하면서도 전혀 다르다. 비틀스의 멤버가 네 명이 아니라 다섯 명이라는 것은 오히려 사소한(?) 차이일 뿐이다. 이 우주에 태어난 마이클 햄버거라는 시인은, 이본 마멜이라는 편집자의 완전히 개인적인 취향 때문에 ‘펭귄현대시인선집’에 이름을 올리게 되고, 대형 햄버거 프렌차이즈 때문에 경영난에 허덕이는 소형 햄버거집 아들이었던 커닝스 주니어는 서점에서 가서 ‘햄버거’란 키워드가 들어간 모든 책을 사들이게 됐다. 그 속에 마이클 햄버거의 시선집이 끼어 있었던 것도 우연이었고, 이 책이 이태원 헌책방으로 굴러 오게 된 것도 우연이었고, 맥도널드 햄버거의 새로운 광고기획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던 기획c 부팀장 김경주의 손에 들어가게 된 것도 전적으로 우연에 지나지 않았지만, 그 우연이 빚어낸 우주의 모습은 참으로 시적이다. 비록 시가 대형 패스트푸드 프렌차이즈의 홍보 수단으로 쓰이는 모습이 한편으로 애처롭기도 하지만, 결국 정크푸드 회사는 이를 계기로 친환경·친인간적 기업으로 거듭하게 된다. 하여간, 시가 세상을 바꾸긴 한 것이다.

비록 우연으로 점철되긴 했지만, ‘미시적 사건의 연속’이야 말로 ‘역사적 필연’이라고 누군가 주장할지도 모른다고, 작가는 주장한다. 시가 세상을 바꾸는 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한들, 그걸 꿈꾸는 것 조차 불가능할까. 조현은 이른바 ‘시적 상상력’으로 시가 세상을 바꾼 평행 우주를 그린다. 한편으로 애처롭지만, 또 한편으로 경이롭다. 우연이 낳은 우연은 필연이 되고, 그 시점에서 기형(畸形)의 음식인 햄버거는 오히려 모든 사물의 역사를 대변하게 된다. ‘누구에게나 아무것도 아니’지만, 사실은 모든 것의 역사를.

소설은 이런 문장으로 마무리된다.

아무래도 인간에게 세계는 사랑의 기억에 대한 애틋한 연민이나 가족에 대한 이해심, 혹은 시적 상상력과 진보에 대한 점진적인 확신이 적절하게 버무려지면서 조금씩 사랑스러워지는 모양이다. 물론 그렇지 않은 우주도 있을 터이지만 말이다.

소설이 그렸던 그 모든 필연적 우연과 만유하는 시적 상상력에도 불구하고, 독자가 마침내 도달하게 되는 지점이 일장춘몽이고, 불가능함이라니! 그러나 조현 작가는 ‘시는 세상을 바꿀 수 없다’는 단정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그는 마음속 깊이 시가 세상을 아름답게 바꿀 우연의 우연을 기다리고 있을 게 분명하다. 다만 이 우주에선 아직 시적 필연이 될만한 애틋한 삶의 ‘얼룩’들이 부족할 따름이다. 그러니까 세상을 바꾸려거든, 시인이 되던가 아니면 사랑하던가. 어쩌면 난해할지도 모르는 그의 사유 속에 깃든 메시지는 이 한가지일 지도 모른다. 하여간, 사랑하라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