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죽는 날 - 존엄사의 최전선에서, 문화인류학자의 기록
애니타 해닉 지음, 신소희 옮김 / 수오서재 / 2025년 7월
평점 :
✍️ 기억에 남는 문장
"궁극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우리 사회가 죽음을 끈질기게 부정한다는 점이다. 죽음을 적으로 여기면 죽음에 패배할 수밖에 없다."
현대 의학은 우리의 수명을 100세까지 연장시켰다. 하지만 이런 생명 연장은 수명과 건강수명 사이의 틈을 더 벌려놓았다. 아프게도 '연명'이라는 말이 어울리는 환자들에게 생명연장은 더 이상 축복이 아닐 수도 있다.
의료의 목적은 '생명 연장'일까 '고통의 완화'일까. 둘 다 포함이 되는 상황에선 아무 문제가 없다. 하지만 양자 택일로 가는 상황이 오면 사람마다 가치관에 따라 대립하게 된다. 그래서 존엄사를 돕는 의료 행위는 여전히 논쟁적이다.
여러 시행착오 끝에 1997년 오리건주에서 미국 최초로 조력 사망을 합법화했다. 조건은 까다롭다. 시한부로 여명이 6개월 내로 남았다는 의사의 진단이 필요하고, 정신이 온전하여 스스로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스스로 치사 약물을 섭취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마저도 동의하는 의사가 많지 않다.
저자 애니타 해닉은 문화인류 학자로 이 조력사망과 관련된 환자, 환자의 가족, 의사, 호스피스 간호사, 자원봉사자 등 다양한 사람들을 현장에서 취재하며 존엄사에 대해 진지하게 고찰한다.
저자가 현장에서 생생하게 기록한 조력 사망의 순간들을 읽다 보면, 때론 내가 본인이 되기도 하고, 가족이 되기도 하며 계속 '나라면'이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 경험한 적 없어도 남의 이야기가 같지 않았다.
'나라면 스스로 삶을 중단하고자 하는 선택을 할까'
'내 가족이 조력 사망을 원한다면 나는 동의할 수 있을까'
얼마 전에 봤던 <아무르> 영화가 떠올랐다. 남편은 평생 함께 했던 아내의 존엄을 지키기 위한 결정을 한다. 정신이 오락가락 하는 와중에도 일부러 식사를 거부하고 "인생이 너무 길다" 말하는 그녀의 마음을 읽은 것이다. 그가 죽은 그녀를 침대에 눕히고 꽃잎으로 정성스레 그녀의 주변을 에두르는 모습은 분명 사랑이었다.
책의 추천사에 언급한 것처럼 조력 사망은 조만간 대두될 사회문제이다. 이 문제에 대해서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되고, 죽음의 자기 결정권에 대해 우리 사회도 진지하게 고민했으면 좋겠다.
*출판사 수오서재로부터 도서만 제공 받아 솔직하게 쓴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