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아 풀아 애기똥풀아 - 식물편, 생태 동시 그림책 푸른책들 동시그림책 3
정지용 외 지음, 신형건 엮음, 양상용 그림 / 푸른책들 / 2006년 8월
평점 :
절판


이제 만 10개월로 접어든 우리 아가를 데리고 매일 하는 일 하나가 생겼다. 아이를 유모차에 태우고 아파트 주변 공원과 풀숲 길을 산책하는 것.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잎과 풀잎을 보고 좋아서 팔을 뻗는 아이를 보면 나도 덩달아 기분이 좋아진다.

 

이 아이가 자라는 이 서울은 얼마나 답답한 공간이던가. 온통 시멘트 공간에 둘러 싸여 있던 아이는 조그맣게 조성된 아파트 내 공원만 나가도 보고 싶은 것이 많다. 화단에 심어 놓은 작은 나무들과 이름 모를 풀꽃 하나하나에 눈길을 주는 아이. 그 작은 눈망울에 풍부한 자연을 담고 살았으면 좋겠다.

 

아직은 어려서 산이나 들로 자주 나들이 할 수 없지만 조금 크면 야외로 나가 아이에게 보여 주고 싶은 것이 많다. 개구리, 개미, 지렁이처럼 도시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동물과 곤충도 보여 주고 작은 꽃과 풀의 이름을 하나씩 알려 주며 자연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고 싶다.

 

그러기 위해서는 엄마도 공부가 필요하다. 아이와 마찬가지로 도시에서 나고 자란 엄마는 모르는 풀들이 너무도 많다. 시골로 가면 여기저기 흔히 피어 있는 예쁘고 자그마한 노란 꽃들이 바로 애기똥풀이라는 것, 책 <풀아 풀아 애기똥풀아>를 보고서야 깨달은 사실이다.

 

이 책을 엮은 이는 치과 의사이면서 아이들이 읽는 책과 동시를 사랑하여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자작 동시가 실릴 만큼 유명한 신형건 씨다. 아이들이 읽는 책들에 관심이 많다 보니 <동화책을 먹는 치과의사>라는 제목으로 동화책 서평집도 냈다.

 

이 책을 엮은 방식도 독특한데 현대시를 개척한 정지용 시인부터 최근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김용택까지 다양한 시인의 시들을 모아 놓았다. 특히 이 시인들의 시들 중 식물 이름이 등장하고 꽃을 소재로 한 시들만 골라 엮은 것이 독특하다.

 

각 페이지에는 꽃을 소재로 한 시인의 시가 하나씩 놓여 있고 그 옆에 은은한 느낌이 드는 한국화 그림이 그려져 있다. 책장의 아래 부분에는 시의 소재로 등장하는 꽃 그림과 그 꽃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담겨 있어서 책을 읽으며 꽃에 대한 지식을 얻기에 좋다.

 

겨우내/ 들이 꾼 꿈 중에서/ 가장 예쁜/ 꿈

 

하도 예뻐/ 잠에서 깨어나면서도/ 놓치지 않고/ 손에 꼭 쥐고 나온/ 꿈

 

마악/ 잠에서 깬 들이/ 눈 비비며 다시 보고,/ 행여 달아나 버릴까/ 냇물도 함께/ 졸졸졸 가슴 죄는

 

보라빛 고운/ 꿈. 시 <제비꽃> 전문

 

제비꽃에 대한 설명은 이렇다. 제비가 올 때쯤 꽃이 피고, 모양이 제비와 비슷해 제비꽃이라고 부른다. 4-5월 경에 짙은 붉은 빛을 띤 자주색 꽃이 핀다. 그리고 그 옆에 제비꽃 그림이 아주 세밀하게 그려져 있어 읽는 이의 이해를 돕는다.

 

이 책에 나오는 꽃들은 시골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들꽃이다. 그러나 도시 생활에 익숙한 아이와 부모라면 잘 알지 못하는 것들도 꽤 있다. 특히 꽃 이름과 실제 꽃을 제대로 연결하지 못하고 헷갈리는 사람이라면 책을 보며 쉽게 연결 지을 수 있을 것 같다. , 그 작고 예쁜 보라색 꽃이 제비꽃이었구나! 하고 말이다.

 

이처럼 꽃 그림을 세밀하게 표현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덧붙인 것은 자연 교육의 효과가 있다. 들꽃의 이름과 생태에 대해 잘 모르던 어린이와 어른 모두 간단한 그림과 설명을 보면서 가볍게 꽃에 대한 공부를 할 수 있다. 그 설명과 그림이 지루하지 않고 간결한 점이 더욱 시선을 끈다.

 

한편 꽃을 소재로 한 아름다운 시와 수묵화 그림을 곁들인 것은 마치 책 한 권이 커다란 꽃 시화전과 같은 느낌을 준다. 자연 교육서들은 자칫 정보와 지식 전달 위주로 빠지기 쉽다는 맹점이 있다. 하지만 이처럼 정서적 자극을 주는 시와 그림을 함께 넣는다면 쉽게 그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 책과 함께 출간된 생태 동시 그림책 동물편 <자 들어간 벌레들아>는 사람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이 땅의 여러 동물들을 소재로 한 시들과 그림이 들어 있다. 학교와 학원, 컴퓨터, 건물 속에 갇힌 도시의 아이들에게 권하면 좋을 만한 시골 동물들에 대한 내용이다.

 

아이라면 누구나 동식물에 관심이 많다. 다만 그것을 접할 기회가 적을 뿐이다. 특히 도시 아이들에게는 자연을 자주 보여 주어 살아 숨쉬는 모든 것들의 소중함을 일깨워줄 필요가 있다. 책을 통해서라도 이 세상의 모든 자연을 알고 접하도록 도와 주자. 그렇지 않으면 콘크리트 건물에 갇혀 푸른 생명력을 잊고 살지도 모른다.

 

방학이라고 하여 여기 저기 야외를 찾아 나서는 가족들이 많다. 자연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른 채 들과 산으로 나가기 보다 미리 공부하고 가면 더 많이 보일 것이다. 그리고 그 자연에서 돌아와 다시 책을 보면서 자신이 경험한 푸른 세상을 기억하면 더 행복한 아이가 되지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