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가 - 세상이 처음 생겨난 이야기 우리문화그림책 온고지신 12
고승현 글, 김병하 그림, 조현설 감수 / 책읽는곰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이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라는 질문이 나오면 설전이 따르게 마련이지요.
한쪽에서는 창조론을 옹호하고 또 다른 한쪽에서는 과학적 가설과 진화론을 옹호 하고
결국 어느쪽도 만족할 수 없는 물음이 되고 마는 것 같아요.

그 누구도 확인할 수 없는 질문, 믿음과 과학적 가설에 의한 답이 있는 질문
그건 바로 이 세상과 사람의 탄생에 대한 이야기가 아닐까 싶네요.

나는 누구일까, 나는 어디서 왔을까 에서 시작되는 근원적인 궁금증
근원에 대한 궁금증은 누구나 가지고 있기에 이 책이 더욱 관심이 갑니다.
정말 세상은 창조의 신에 의해 만들어졌을까 아니면 과학적 가설에 의해서 만들어졌을까...

성경에 나오는 창세기와 유사한 단어 창세가
창세가의 가자는 노래를 의미하는게 아닐까 싶네요.

우리의 창세가 에도 창조의 신이 등장을 합니다.
커다란 거인이 하늘과 땅, 달과 별을 만들고 함께 만들었지요.
하지만 혼자서는 외롭고 허전한 건 창조의 신도 마찬가지 인가봐요. 
하늘에 빌어 떨어진 금벌레는 사내가 되고 은벌레는 계집이 되어 사람과 함께 사는 평화로운 세상이 만들어졌어요.

이렇게 평화로운 세상도 오래 유지되지는 않았네요.
또 다른 커다란 사람이 나타나 이미 만들어진 세상을 제세상으로 만들고 싶어하지만
여의치 않자 속임수를 사용하게 되고 그 결과 많은 좋지 않은 일들이 생겨났다고 해요

나중에 온 이로 인해 이 세상에는 악한 일들이 많이 일어나 세상이 어지러워지고
사람들은 다시 먼저온 이를 기다렸지만 이미 세상에 거짓과 슬픔이 가득차 좀처럼 돌아오지 않고 있다고 해요.
 


<온라인 서점 홍보 사진>

처음 이 책을 읽을 때는 먼저온 이 나중에 온 이가 대체 누구일까 하는 궁금증이 생겼어요.
하지만 뒷 부분에 있는 조현설 선생님이 들려주는 창세가 이야기를 읽으니 이 책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네요.
먼저온 이는 미륵 이고 나중에 온 이는 석가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미륵은 미래의 부처로 세상을 구원할 신으로 여겨지고 있지요. 
또 다른 면에서 미륵과 석가는 인간의 양면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합니다.
창세가 뒷부분에 실려있는 글을 읽으면 철학책을 읽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하네요.
창세가에는 우리 조상들의 믿음이 들어있는 듯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