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오사화 ㅣ 조선 핏빛 4대 사화 1
한국인물사연구원 지음 / 타오름 / 2010년 12월
평점 :
학교다닐 때 우리나라의 역사를 배우면서 참 참담했던기억이 있다. 왜이토록 당하기만하고그리고 또 이렇게 자기들끼리 싸우기만 할까. 요즈음 정치판과 전혀 다를바없다. 지금 우리는 역사를 연구하면서 그 싸움에 대해 객관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면서 어쩌면 약간은 미화되기도하고 약간은 과장되기도 하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사화는 사림의 화를 말하는것으로 조선시대의 정치적인 획을 그은 아니 물갈이를 한 4대사화(무오사화, 감자사화,기묘사화,을사사화)가 있다.
그중 이책은 그 첫번째 사화인 연산군때의 무오사화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전에 정치적인 흐름이 세조때 충신게열인 훈구파와 시진세력인 사람파의 대립이다. 이들 훈구파는 세조대 득세하지만 성종대이르러 사람파의 등장으로 약간 위축되어있었다. 그러면서 그들의 대립이 점점 첨에하게 대립되었다. 그러다가 연산군때 사림파였던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사관김일손에 의해 사초에 기록됨으로써 시작된다. 조의제문은 김종직이 꿈을 꾸는데 초나라 의제를 만나게되어 굼에서 깨어난 의제를 죽인 항우에 비유항 단종을 죽인 세조를 은근히 비난하는 글이었다. 이글이 연산군때 이극돈이 글을 발견하게되고 세조의 찬위과정을 헐뜯는다해서 김종직과 사이가 좋지않던 훈구세력인유자광에게 가고 이것이 노사신에게 전해지고 임금에게 알려진다. 그리해서 본보기를 하려고 노리고 있던 연산군은 유자광으로하여금 많은 선비들을 죽음으로 이르게했다.
이책은 무오사화라는 사건을 통해서조선시대 전반의 정치집단의 모습들과 제도를 살펴보고 도 무오사화가 일어나기가지의 연산군의 행적을 통해 그의 됨됨이를 살펴보고 연산군일기를 살펴봄으로써 무오사화가 일어날날의 기록들까지 세세히 살펴보고있다. 그리고 그 무오사화와 관련된 수많은 사람들의 일화나 이야기들이 주도된 인물을 기록과 유적지를 통해 보여주고있다.
이책을 보면서 에전이나 지금이나 당파는 어쩔수없는것일까. 우리는 이론적으론 알고는 있지만 역시나 항상 문제가 되는 것은 상대방이 틀리다가 아닌 다르다는 것을 인정해주는 것이 아닐까. 그리고 민중의 마음이 아닌 그들의 이익을 위한 논리로 돌아가는 것은 아닐까. 지금 이현실의 정치역사가 500년뒤에는 어떻게 평가 될것인가 정말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