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하는 뇌 -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단 하나, 상상에 관한 안내서
애덤 지먼 지음, 이은경 옮김 / 흐름출판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과학의 발달로 몸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뇌 영역, 감각이나 감정을 느낄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을 MRI, fMRI 등의 기술을 활용해 객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심상과 마음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현실은 뇌가 만든 제어된 환각이다. 기억은 조작된다. 그 당시의 사실 뿐만 아니라 감정, 바램 등 주관적인 것들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인간의 가장 위대한 특성인 상상력,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설 수 있게 한다. 상상을 통해 과거를 회상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우리가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미지의 세계를 탐험하며, 복잡한 문제의 해결책을 찾는 데도 상상력을 이용한다.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세상을 바라볼 수도 있다고 합니다. 역지사지? 그 사람의 감정을 상상하지만 일치할지는 모르지만 일치하지 않더라도 의미 있는 상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뇌는 과거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신호를 해석하고 빈틈을 스스로 채워 장면을 만들어낸다. 많이 읽은 작가가 써 내려가는 책 속의 인물들, 사건들은 모두 작가의 상상력으로 창작되는 것일까? 신경과학자들은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제어된 환각'이라고 부른다.

심상은 감각 자극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아도 마치 그것을 지각하는 것처럼 마음속에 떠올리는 정신적 표상이다. 이런 의미에서 현실은 우리 뇌가 만들어내는 가장 정교하고 일관된 형태의 상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험을 기억하고 같은 상황을 상상하면 그 감각이 느껴지는 현상이다. 경험이 필수는 아니라고 하는데~

상상력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표현하는 것이다.

미지의 영역이었던 뇌, 신경, 심리에 대한 연구를 지속한 과학자들의 경험과 결과, 논쟁들 속에서 수 많은 정보가 축적되고 그 정보를 해석하여 인간의 상상력, 심상, 감정 등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데 큰 벌걸음은 내딛고 멈추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 끝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자~  

, 상상에 대해 자세히 어렵지 않게 잘 알려주는 책입니다.

이 리뷰는 서평단 자격으로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