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어린이의 질문 - 가장 정직한 K-어린이에 대한 기록
이모령 지음 / 아름다운사람들 / 2025년 6월
평점 :
그림을 잘 그리는 서진이, 춤 잘 추고 노래 잘 하는 혜미, 엉뚱하고 진지하고 거침없는 은서, 현실주의자 지율이 그리고 나, 오총사 + 트롤
선행 학습, 학원, 입시
준비로 반짝이던 오총사는 빛을 잃어갔다. 이곳이 지옥이다.
중국도 ‘가오카오’라는
시험이 있고, 일본은 ‘주쿠’라는 학원을 다닌다. 아시아 국가들에 치열한 입시 경쟁이 있는 듯하다. 과열경쟁을 피해 미국이나 캐나다로 유학간 아이들, 결국 그 동네
학원 다니면서 외국인 까지 경쟁을 하게 만들었다는 K-교육의 영향력~
대단한 거죠?
시험을 망친 날 내 인생이 같이 망가진 줄 알았다. (p26) 대부분
이런 경험들 있을 실 거라는 유추해 봅니다.
독일 아비투어를 보고 언제든 가고 싶을 때 가고 싶은 대학에서 하고 싶은 공부를 할 수 있다. 좋은 제도 같지만 시험 기간인 한달이고 구술시험도 있고 등등 학교 교육 방식과 과정의 차이를 반영한 차이가
있고 수능 한방이 더 편하고 좋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프랑스 바칼로레아. 과연 우리나라에서 실현 가능한 교육 정책일까요?
우리 아이들, 청소년들에겐 쉴 시간과 놀 권리가 있다. 대한민국 교육현장엔 인정하고 지켜주는 어른들은 없다.
‘학교는 인간을 키우는 곳’이고
‘공부가 더 나은 사람을 만드는 학교’를 선택한 유럽. 더 행복하다. 우리 아이들은 어떨 때 행복할까요? 어른인 우리도 행복을 잘 느끼지 못했던 학창시절 기억… 아이들이
답습하는 걸 방관해야 하는지?
‘우리 이대로 괜찮을까?’, ’한국에선
엄마도 우리도 너무 힘들어.’
한국은 세상에서 가장 우울한 나라. 맞아요. 행복하지 않은 어른들, 더 행복하지 않은 아이들.
K-어린이365. 우리가
바꾸고 싶은 것? 피해자들이 바꿔가야 한다. 어른이 시키는
대로 살면서 세상 탓을 해? 모든 것이 완벽해야지만 세상에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건 아니니까??? 트롤과 함께 육총사.
아무 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것도 달라지지 않는다.
이 책을 전국 도서관에 비치해주세요. 또 교육정책을 만드시는 분들이
꼭 읽길 원해요.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을 작성했습니다.
좋은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