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한의 품격
김기석 지음 / 현암사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목사님의 사설을 모은 책

종이 신문을 읽지 않은 지는 언제부터 인지 기억이 나지 안을 정도이고

Portal에 뜨는 신문 기사만 보고 지낸 지도 꽤 오랜 기간이다.

당연히 사설은 종이 신문 읽을 때도 잘 안 읽었던 부분이니까

거의 안 읽는다고 보면 맞을 거 같다

목사님은 어떤 글을 쓰셨을까?

에세이는 수필의 한 종류로 쉽게 접하고 읽을 수 있는 글이라고 생각했지만

그 안에는 저자의 사상, 철학, 가치관이 녹아 들어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쉽게 읽히는 책은 아니다.

3부로 구성되고

그 아래 다양한 주제를 이야기해주고 계시다.

글 자체는 어렵지 않게 저자의 스토리텔링 능력이(감히 평가해서 죄송합니다.) 고스란히 드러난다.

읽다는 흰 종이이 인쇄된 검을 글자를 눈으로 받아들이는 게 그 첫 걸음일 뿐

거기에 나의 생각을 더해야 진짜 독서라고 생각한다.

기다림이란 종종 거절의 다른 이름일 뿐. 정의를 지연시키는 것은 정의를 부정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p7) 시간이 해결해주는 일은 없다. 시간이 흐르고 그 흐름속에 불온을 바꾸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의 피와 땀이 함께 할 때 변화는 생긴다.

지구의 생명을 이해하고 그 신비에 귀를 기울이는 것을 지구 문해력이라고 한다.

이익이 블랙홀처럼 모든 가치를 삼키는 사회는 위험하다. 막히면 변해야 하고 변하면 통하기 마련이다.  (p17) 정반합의 기술이 필요하다. 나만의 고집으로 부딪힌다면 나만 부러진다.

사회의 변화를 위해 헌신하는 이들을 괴롭히는 것은 악한 사람들의 몰이해가 아니라 선량한 사람들의 천박한 인식이다. (p20) 일면식도 없는 사람에 대한 악성 루머, 댓글과 여론 몰이가 결국 파국을 초래한다. 이해보다는 인정이 필요하고 인정에는 내 기준으로 판단하거나 평가하는 것은 배제해야 한다.

세월호/후쿠시마, 체르노빌 모든 것이 되살아나고 있다. 기후위기. 디스토피아적 현실. 지구 환경 위기를 통해 인류가 멸망하고 유구한 세월이 흐르면 다시 원시 지구로 부활할 것이다. 지구를 위하는 게 나를 위하는 거라는 단순한 내용을 기억해야 한다.  

사람이 먼 각이 없으면 반드시 가까운 근심이 있기 마련이다.(공자, p32)

짧은 글 속에 담긴 의미를 생각하며 읽을 책으로 적극 권해드립니다.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