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7의 모든 것
김희선 지음 / 은행나무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47호의 이름은 김홍섭, 247번쨰 확진자이자 슈퍼 전파자.

변종 니파바이러스의 슈퍼전파자이자 인류 최후의 숙주였던 247이 죽었다는 소식은, WCDC(World Centers for Disease Control, 세계질병통제센터) 홈페이지의 공지란에 처음 게재됐다. 건조하면서도 간결한 어조로 적힌 공지는 올라오자마자 소셜미디어를 타고 빠르게 전파됐고, 잠시 뒤엔 긴급재난문자를 통해 한 번 더 선포됐다. 길을 가다 말고 사람들은 일제히 멈춰 서서 휴대전화를 들여다봤으며, 보일 듯 말 듯한 미소를 지었다. (p7) 수퍼 전파자의 사망. 핫 이슈지만 그 사망이 가져오는 소문과 궁금증, 걱정까지 사라지진 않았다. Infodemic~ ‘~카더라’의 위험성은 이미 경험했다.

아무도, 그 어떤 이유로도, 의사의 처방 없이 해열진통제를 구입할 수 없습니다. 만약 열이 난다면 각 지역 센터에서 검사부터 받으십시오. 치명적인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되지 않았다는 게 입증되면, 여러분은 해열제를 처방 받게 될 것입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제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된 것을 숨기고 도시 곳곳의 열 감지 센서를 통과하는 일은 불가능하게 되었습니다.” (p103~104) 전염병의 증상으로 발열이 일반적이긴 하다. 발열이 있으면 검사를 하고 확진이 되면 격리를 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해준다. 아주 이상적인 바람으로 세운 댜책으로 다른 원인에 의한 발열까지 검사 대상이 되어 불필요하다고 생각될 수 있지만 COVI19 판데믹에 대한 대처와 상통하며 그 효율을 고려할 때 최선일 수 있다 . 유동인구가 있는 곳에 체온측정기가 있었고 각각의 집에 체온계가 있었다. 열을 재고 *도 이상이면 키트검사를 하거나 병원에서 검진을 받았다. 처음엔 코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코 and/or 입에서 ​

변종 니파바이러스의 전파, 해열제 금지 등 이야기의 소재는 겪어본 우리들에겐 두려움과 호기심은 자극하기에 충분했다고 생각합니다. 실재 COVID19이후 창궐할 가능성이 큰 바이러스라고 삽니다.

“원인불명의 환자 발생!” 원인을 알 수 있다면? 달라질 수 있지만 원인 불명의 감염병, 전염병은 전염을 차단하여 감염의 확산을 막고 환자는 대증 치료를 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고 현명한 대책입니다. COVID19판데믹에서 이미 인류가 경험한 부분이기도 하고,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을 실천했고 모임을 자제하고 증상에 맞는 약으로 버텼고 예방야과 치료제 개발에 전세계가 함께 노력했죠.

변종, 신종 전염병의 원인은 이미 자연계에 존재했던 바이러스가 어떤 상황에서 숙주가 바뀌어 심각한 질병 상태를 야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니파바이스가 박쥐에서 돼지로, 사람에게로 감염되면서 변이와 판데믹을 유발한거리는 이야기.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