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공부 수학문해력 하나로 끝난다 - 초등학교 4학년, 수포자가 되는 이유
김은정 지음 / 굿인포메이션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김은정님은 수학과 중등교사자격증을 취득하였으나 아이가 태어나면서부터는 아이를 좀 더 잘 키우려는 마음에 중등교사의 꿈을 접고 초등교사가 되었고, 현재 20년째 재직하고 있다. 초등교사로 수학을 좀 더 잘 가르치고자 영재수학 전문과정을 수료했다. 매년 수학을 어려워하는 아이들을 마주하면서 이유에 대해 고민했고 나름의 해결책을 찾아가며 교실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부터 수학을 포기하는 학생들이 없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적어도 내가 가르치는 수학은 아이들에게 ‘나도 해보니까 수학이 잘되는구나’ ‘수학이 재밌구나’를 알도록 노력하고 있다.

수포자. 언제 처음으로 수학을 포기하는 친구들이 생길까? 중학교 2학년, 초등학교 6학년, 초등학교 3학년 삼형제를 둔 학부모로 관찰해보니 아직 포기한 아이는 없다. 그런데 초3 아니는 1학년때부터 수학이 어렵다고 하고 초6 아이는 6학년이 되니까 많이 어려워진 거 같다고 하고 중2 아들은 그냥 흥미롭게 하는 거고 어려울 때 낮은 점수 쉬울 땐 높은 점수를 받아오며 아직은 포기하지 않은 듯하다. 형의 입장에서 동생이 모르는 부분을 가르쳐 주려고 노력하는 모습도 보이니 수포자가생기지 않을 거 같다는 희망과 기대를 가지게 된다.

 

문제가 있으면 해결하면 된다. ‘어떻게?’라는 방법에만 집중하면 모든 문제가 다 해결될 거 같은 잘 못된 기대를 가지게 되고 또다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그럼 진정한 해결방법은 뭘까? 현재의 상태(문제)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As Is) 목적과 목표를 정한다.(To Be) 그 사이의 차이를 인식하고 그 틈을 메꿔나가면 문제는 해결되고 다른 문제가 생길 가능성도 거의 없어질 거라고 생각한다.

이 책의 목차를 보면 이 책이 어떤 목적으로 쓰여졌고 저자가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인지 가늠할 수 있게 해준다. 거의 모든 목차의 기능이지만 목차를 보고 본문으로 들어가시는 분이 그리 많지는 않다.

어려운 문제를 이른 나이에 접하면 수학을 잘 하게 될까? 절대로 아니다. 경험상 더 빠른 포기를 부르고 선행학습은 그다지 효과가 없다. 오히려 복습이 시간 대비 효과 최고의 방법이고 복습의 시간은 빠를수록 좋다. 쉽고 수준에 맞는 문제를 풀어보고 수준을 조금씩 올려주면 더 효과적이다. , 문장이 길어지면서 문제를 읽지 않게 되고 문제를 모르니 답을 찾아가는 길은 깜깜하다. 서술형문제에 익숙해지는 방법? 문제가 조금씩 길어지고 답안을 구하는 과정도 조금씩 길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저자는 수학에 초점을 맞춰 문해력을 강조하고 있지만 문해력은 전과목에 해당되는 중요한 능력이다. 자주 읽고 생각하고 이해하는 습관을 기르자. 공부에는 왕도가 없다. 방향을 잘 잡고 기본에 충실하며, 적당한 도구(, 교재, 학교, 학원 등)를 활용하고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하는 방법 뿐이다.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