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받지 않는 관계의 비밀 - 웹툰으로 알려주는 인간관계 심리 처방전
최리나 지음, 연은미 그림, 천윤미 일러스트 / 미디어숲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최리나님은 작, 심리상담사, 글로성장연구소 대표.첫 에세이 <나는 왜 남의 눈치만 보고 살았을까?> “살고자 글을 쓰기 시작했던 나는, 이제 창문에 올 듯 말 듯 토독토독 떨어지는 빗방울 같은 작가가 되고자 글을 적는다. 잦아드는 빗소리로 곧 이 비가 그치고 찬란한 해가 뜰 거라는 반가운 소식을 전하는 사람처럼.라는 저자님의 말대로 반가운 소식을 전하는 글, 마음을 건강하게 해주는 글을 쓰시고 계시죠.

만화가, 일러스트레이터 이신 연은미님과 이모티콘 작가, 일러스트레이터 이신 천윤미님은 최리나 작가님의 글을 살려주는 그림을 그려주셨어요.

 

웹툰, 짧은 만화에 아주 큰 의미를 담고 있다. 심리학적인 해석과 실재 사례들을 이야기해주고 있고 믿음이 커진다. 연인, 가족, 회사 안에서 관계를 맺고 살고 있다. 오로지 나 혼자의 시간은? 잠에 빠져 있는 시간뿐일지 모르겠다. 더 다양한 인간관계를 맺고 사는 분들도 많지만 본인의 기호에 따라 선택한 관계이다. 앞에 세분야의 관계도 선택은 가능하다.

 

우린 보통의 인생을, 비슷비슷하게 살아가고 있기도 하지만 일반적인 이야기를 읽고 듣다 보면 내 이야기라는 공감을 많이 하게 된다. 실재 사례와 상담을 통해 전문가 적인 조언이 같이 깃들어 있다. 나는 어쩌면 관계 중독이었을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하게 해준 책이다. 잘 읽히는 책이지만 한번 읽고 덮어둘 책도 아니다. 교과서처럼 글자 하나 문장 하나 파헤칠 필요는 없지만 웹툰을 읽은 후 내 생각이나 느낌을 바로 뒤에 나오는 저자의 해설과 비교해보자. 사이비(似而非) 비슷하지만 약간(?) 다른 게 대부분이고 정말 다르게 이야기해주는 부분도 있다. 저자가 옳고 독자가 틀렸다는 얘기는 절대 아니다. 맺고 있는 관계, 그 안에서 독자의 위치나 모습도 다양하고, 큰 범위에서 보면 일반적일 수 있지만 개인적인 특징이 있으니까, 그런 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누구나 아는 이야기지만 일방적인 관계는 결코 오래갈 수 없다. 모든 관계는 쌍방의 노고가 깃들 때 비로소 빛을 발하기 마련이다. 만남이 있으면 헤어짐이 있다. 경계성 인격은 만남의 유한성을 인정해야 한다. 손뼉도 마주처야 소리가 난다. 보통의 경우 한쪽의 일방적인 노력이나 양보로 유지되기는 힘들다.

 

만약 어떤 관계이든 내 삶을 통제하거나 자유의사를 박탈한다고 느낀다면, ‘나는 당신의 뜻과 다릅니다’라며 자기 의사를 당당히 밝힐 줄 알아야 한다. 또한, 그 누구를 만나더라도 주변 관계를 단절하지 않아야 한다. 진정으로 사랑한다면 상대방 가족이나 친구까지도 보듬어주고 안아주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타인에 의해 조정 당하지 않기 위해선 내 존재의 가치를 깨달아야 한다. 상대방이 가스라이팅을 하려고 한다면 단호하게 거절하고 본인의 의견을 똑똑하게 이야기해야 한다.

 

부부관계를 위해 당신은 평소 어떤 노력을 하고 살았는가. 그 노력은 당신이 판단한 노력인가, 아니면 상대가 바랐던 노력인가? “노력했는데 왜 알아주지 않아?”라고 하소연하기 전에 상대가 바라는 게 무엇인지 고려하거나 먼저 상대에게 의사를 묻고 행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서로에게 필요하고 원하는 노력을 같이 하자.

 

삶에 있어 진정으로 감사함을 느끼는 태도는 손상된 관계를 회복시킨다. 더불어 자신의 인생이 기쁨으로 충만해지는, 나로부터 시작해서 나를 둘러싼 타인과 사회에까지 행복을 전이 시키는 해피 바이러스이기도 하다. 내가 행복하면 내 가족도 행복해지고, 나와 관련된 모든 이에게 행복이 일파만파 퍼진다. 더 자주 해야 할 사이임에도 불구하고 연인이나 가족끼리 사랑해’, ‘고마워라는 말은 잘 안 한다. 말 안 해도 안다고? 모르는데~ 자주 표현하고 늘 감사하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살았으면 좋겠다. 초심을 잃지 않고 열심히 살면 뒷심도 따른다.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