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없는 과학 - 2022 한국과학창의재단 우수과학도서 선정 세상의 모든 지식
클라이브 기포드 지음, 김은영 옮김 / 사파리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 게 과학이구나!!!”

과학은 우리 주변의 모든 것이다.”

 

제목부터 심상치 않다. 책 소개를 읽어 보면 이해가 될 듯하다. 만약 흰 가운을 입고 복잡한 기구들로 실험하는 것이 과학자의 모습이라고 생각한다면 그건 과학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이 아닐 수 없다. <게임이나 놀이를 하듯 즐기면서 새로운 사실을 이끌어 내는 힘을 기를 수 있는 책>, <합리적인 과학적 사고를 할 수 있게 해 주는 책>. 과학책이지만 우리가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을 뺀 책. 그런 고정관념이 과학은 어렵다는 선입견을 만들어주고 있다. 선입견이 생기기 전의 아이들에게 과학의 즐거움을 알게 해줄 수 있는 책이고, 선입견이 있는 사람들을 잠시 어리둥절하게 만들지만 결국 과학의 재미에 빠지게 만드는 책이다.

 

제일 중요한 사실은 아이들이 좋아하는 책이다. 아주 대단한 내용이 담긴 책이라고 해도 읽지 않으면 그 책은 종이와 활자의 낭비이고 의미가 없다.

 

목차를 보고 「인체」, 「자연」, 「눈과 시각」, 「두뇌」, 「빛」, 「물리」, 「우주」, 「두뇌 퍼즐」로 구성되었다고 설명해주고 있는데 복잡하죠? 그냥 제목으로 받아들이고, 내용과 관련된 활동을 해봐요. 이 책은 고이 고이 간직하는 책이 아니 예요. 그리고, 색칠하고 자르면서 보는 책이죠. 열심히 보고 나면 결국은 표지만 남을 수도 있는 멋진 책이죠. 여러 번 보고 싶거나 여러 사람이 같이 보고 싶으면 어떻게 할까요? 그 방법은 9페이지 <옮겨 그리는 방법>을 따라하면 되요. 이 책은 제 것이고 우리 삼형제 한권 씩 가지고 싶다는데… ‘OK!!!’

 

신기하고 놀라운 내용이 가득하지만 21페이지 길이 퍼즐은 아주 충격적이죠. 보이는 대로 믿는 뇌. 36페이지 글자가 깨졌는데? 제 책만 그런거죠?

 

아이들이 직접 체험을 하면서(과학실에서 어려운 과학 실험을 하는 것도 체험이지만) 놀이로 경험한 건 오래 오래 기억하더라고요. 몸과 뇌가 기억하는 놀이에 담긴 과학적인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 듣고 읽어서 배우는 것보다 만들고 그리는 행동을 통해 배우는 것이 더 좋다.

 

이 리뷰는 사파리 출판사 서평이벤트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