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괜찮은 죽음 - 살아 숨 쉬는 현재를 위한 생각의 전환
헨리 마시 지음, 김미선 옮김 / 더퀘스트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영국인이며 신경외과 의사이다. 곧 은퇴할 나이의 많은 경험이 있는 전문의다. 기술의 발달로 두개골을 열고 뇌에 접근하여 현미경으로 크게 확대하여 보면서 수술한다. 기술의 발달은 한계가 있다. 위험성은 감소되었지만 여전히 뇌를 다루는 수술은 의사의 손으로 이루어진다. 모든 수술이 다 그렇다? 뇌수술의 후유증(?)은 좀 다르다.  수많은 혈관으로 덮인 기름진 단백질 덩어리=뇌

수술에 대한 자세한 서술로 마치 수술실에서 함께 보거나 직접 집도하는 듯한 느낌이 강하게 든다.

 

신경외과 진료를 받아 보신 분들, 아니 외과적인 수술을 경험해 보신 분들을 잘 알 거라고 생각한다. 수술동의서라는 것에 서명하는 순간의 기분. 아주 간단한 수술이라도 어떤 돌발상황이 닥쳐 안타까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하물며 신경외과. 아직 잘 이해하지 못하는 뇌의 기능들. 구조는 많이 이해했고 기능도 어느 정도 밝혀져서 부작용이라 후유증에 대한 예측을 하긴 하지만~ 사람마다 다르다. 저자의 노력으로 경험과 실력으로 수많은 환자의 질병을 무사히 치료해주었을 것이다. 사람의 기억은 많은 부분이 왜곡되기도 하고 무사하게 잘 해결된 것들은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 책에 나열된 상황들은 어느 면에서 든 이벤트가 있었다. 어쩌면 감추고 싶은 일들까지도 세세히 잘 기록해주고 있다. 의료일지 덕일 것이다.

 

동맥류 수술 중 장비의 이상으로 위험한 상황이 발생했지만 노련하게 대처한다. 베테랑은 그런 것이다. 혈관모세포종 ? 재난을 품고 있는 혈관덩어리라고 표현하고 있다.

위로하고 안심시키려는 본능을 최대한 억눌러야 한다.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를 들은 보호자와 환자들은 결국 그 보다는 나은 결과 앞에서 만족하고 행복해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는 그들 뿐만 아니라 의사도 지옥을 경험하게 한다.

환자가 수술 받아야 하는 상황이 명확해지면 환자를 겁주고 싶지 않다.

고민이 필요 없는 쉬운 환자만 맡는다면 자신이 발전할 수 있을까? (p58)

수술대의 무대 공포증은 많은 경험으로 극복할 수 있지만 완전히 없는 자만의 자세도 위험하다. 모든 수술에는 정교한 기술과 경험, 솜씨 뿐만 아니라 운까지 필요하다.

중환자실은 마치 전쟁터 같다. 의식이 있고 심각하지 않은 환자에게도 지옥이다. 경험이 없길 바라지만 내가 경험한 중환자실은 그렇다. 24시간 켜진 조명, 분주한 간호사들, 환자들이 내는 다양한 소리를 지켜보고 감내하는 시간을 보내야 한다.

신경외과수술실에서 태어난 아이. 엄마는 아이를 먼저 생각하는 게 일반적이다. 모성애. 하지만? 엄마가 많이 아파 엄마의 치료를 먼저 선택할 것인가? 뱃속의 아이를 위해 치료를 미룰 것인가? 그 상황에 처해보지 않아 이해는 못하지만… 끝까지 버틴다고 아이의 안전이 보장되는가? 아픈 엄마, 시력을 잃은 엄마이 삶과 아픈 엄마가 아이를 돌보는 것을 조금 깊이 생각해보자. 많이 힘들지 않을까? 아이는 무사히 태어나지만 엄마는 죽었을 경우는 어떤가?

 

죽음이라는 결과가 언제나 나쁜 것은 아니잖아. 빠른 죽음이 느린 죽음보다 오히려 더 나을 때도 있어. (p85) 수술 일지를 적는다. 수술 합병증으로 인정되는 일종의 뇌내출혈.

 

1995년 우크라이나, 최악의 상황에서 조현병을 앓고 있는 보조와 삼차신경통 수술. 1992년 키이우 출장. 엉터리 영어로 말했다. 이고르를 통하여 우크라이나의 신경외과 의료 수준을 높여주고 싶어한 저자. 그걸로 많이 고초를 겪은 이고르. 불합리한 조직에서 벌어지는 일을 잘 보여주고 있는 일화라고 생각한다.

 

이 책에 실린 많은 이야기들을 통해 독자들은 죽음에 대해 생각하게 되고 의사들의 노력에 대해 감사하게 되고 죽음이 무조건 나쁜 건 아니라는 것을 다시 한번 깊이 생각할 기회를 얻었을 수 있다. 전국 병원의 신경외과 선생님들, 미래의 신경외과 선생님들을 포함한 의료진들이 읽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신경외과 수술을 앞둔 환자들에겐 처음이고 의학적인 지식이 부족하다는 오해로 인한 두려움으로 타인이 경험을 통해 의학적으로 좀 더 알 수 있고, 동질성/동류의식을 통해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리뷰는 몽실북클럽 서평이벤트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