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친애하는 비건 친구들에게 - 신념을 넘어 서로에게 연결되고 싶은 비건-논비건을 위한 관계 심리학
멜라니 조이 지음, 강경이 옮김 / 심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건, 넌비건, 채식인, 육식인. 자신의 신념에 따라 먹는 음식을 조절하는 사람들이 있는 건 알고 있었는데 비건과 채식주의자가 동의어가 아니었고, 채식주의에 비건이 포함되는데(맞나요?) 여러 음식의 종류별로 섭취하는 채식주의자들을 8단계로 나누고 있는 걸 이번 기회에 알게 되었어요. 이런 구분을 접하고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전에 생물학적으로 사람은 잡식성이라고 생각했었다. 인간이 진화하면서 먹이 사슬의 최상위를 차지하고 있죠.

 

마리아가 비건이고 제이콥은 넌-비건. 비건-넌비건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좋지 않은 결과는 관계의 균열의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극단적이지 않다면 균열까지 초래하지는 않겠지만 불편하기 때문에 서로의 지지자이고 연대를 유지했던 관계도 안 좋은 방향으로 바뀔 수 있다. 이상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안정감과 교감을 가지게 하는 관계의 회복 탄력성을 기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관계의 방식을 바꾸고 관계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이 우리에겐 있기 때문이다. ‘관계를 돌본다.’는 의미는 신념보다 관계를 우선시한다.’ 것이다. 연대자란 이상이 같지 않을지라도 곁에서 상대를 응원하는 사람이다.

 

동물은 인류의 단백질 공급원의 하나임에 틀림없다. 당연히 육식을 통해 단백질을 공급받고 성장하고 생존한다고 생각한다. 육류의 공급에는 여러 문제가 있다. 집단 사육의 문제로 발생되는 동물의 학대, 환경이 오염이 있으며 도축(도살) 과정에서 동물이 받는 고통을 문제로 고민하고 결국 동물의 식용을 거부하는 비건이된다. 논비건이라고 그 과정에서 충격을 받지 않은 건 아니다. 단지 대응방식의 차이라고 인정하면 된다. 과거에 비해 채식이나 비건에 대한 배려인지 블루오션으로 이해하는 건지(결론적으로 중요하진 않지만) 레스토랑들이 생기고 식자재 공급 등 여러 분야에서 비건들을 인정하고 있다. 아직 부족한 수준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언젠가는 특별히 신경 써서 만남의 장소를 고민하지 않아도 될 시기가 오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한다.

 

차별/평등이라는 말이나 주제, 논쟁 등이 없어져야 진정한 평등이 이루어지는 것처럼비건-넌비건의 구분이 없는 음식문화가 진정한 상호 존중이고 공존이라고 생각한다. 새로움과 나와 다름은 틀림이 아니라는 걸 인정하고 관계의 단절이 아닌 새로운 관계가 생기는 것으로 받아들여 보자.

 

저자가 다루는 내용은 비건-넌비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나를 둘러싸고 있는 신념의 차이가 있는 사람과의 관계에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해할 수는 없지만 인정할 수는 있고 나의 신념을 고수하여 관계를 망치지 않으려고 노력하며 동조는 아니지만 연대자는 되어 줄 수 있다. 어떤 신념에 대해서는 가능한 행동이다. 관계의 유지는 노력이 필요하고 관계는 고착되어 있지 않고 변한다. 나의 자세이던 상대의 자세이던 변화가 생길 경우

 

이 리뷰는 몽실북클럽 서평이벤트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