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택과 결정은 타이밍이다 - 1%의 미련도 남지 않게 최선의 선택과 결정을 하는 법
최훈 지음 / 밀리언서재 / 2022년 1월
평점 :

선택과 결정. 사전적
의미를 알려준 저자. 주로 같이 다니는 단어이고 유사한 의미로만 알던 단어인데, 사전적 정의를 통해 명확해 졌지만 아마도 계속 혼돈해서 사용하게 될 거 같다.
결정장애는 장애가 아니다? 장애이다? 큰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고 결정의 순간마다 반복된다면 장애가 맞다고 생각한다. 물론 듣는 사람 기분 나쁘겠지만 고치기 위한 자극으로 작용할 수도 있지 않을까? 신조어를 만드는 데는 신중해야 한다. ‘선택불가 증후군’ 개이적으로 이 표현이 더 병적인 상태를 말하는 거 같다. 동의가
필요하다. 모두(?) 동의한다면 바뀌겠죠? 햄릿 증후군, 메이비(Maybe)족은
결정 장애 또는 확실하게 말하지 않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섬 같은 존재? 어쩜
나도~ 많이 고민하게 만드는 말이다. 상사가 보기엔 섬처럼
느껴질 수도 있겠다 싶다. 고쳐야 하나?
나를 잘 알아야 한다. 색깔이
확실한 사람으로 평가받고 싶다. 선택과 결정은 누구에게나 어려운 문제이다. 선택을 앞두고 있을 때 잠시 생각하는 시간을 갖고 의식적으로 시간을 확보하는 습관을 만들자. 어떤 결정을 하던 내가 하는 거니까, 스스로를 믿고 결정하자. 내가 내린 선택과 결정을 절대 돌이킬 수 없다. 무의식적을 가졌던
걱정과 두려움을 편하게 내려놓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내 삶은 나의 선택으로 이루어진다.
그 시기는 언제부터? 여러가지 결정을 어른들이 해주는 시기가 있다. 내가 선택한 것을 책임질 수 있는 시기부터 스스로 산택하고 나의 인생을 만들어 가면 된다. 천천히 조금씩 내가 원하는 것을 생각하자. 싫어하는 게 뭐야? 좋아하는 게 뭐야? 두가지 질문 중 우린 전자에 더 쉽게 답한다. 후자의 답을 찾아 가자.
“조금이라도 덜 후회하고
내가 좋아하는 선택을 하고 싶다.” 신중함은 결정장애가 아니다. 신중함이
소심함으로 오해를 받기도 한다.
나의 모든 것을 긍정하고 단순하게 생각하고, 자기 확신과 완벽 주의에서 벗어나고 선택을 꾸준히 경험하게 되면 최고의 선택과 결정을 할 수 있다.
‘경험은 분명 나에게
최고의 선택지를 안겨줄 것이다.’ (p087)
머릿속에 있는 생각들을 정리하고 온전히 나에게 집중하면서 나의 기준에
맞춰 선택하고 결정한다. 선택의 순간 나의 감정을 제어하여 그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1%라도 더 내가 원하는 선택을 하자. 조언고가 충고는 참고만 하자. 잠시 멈춰서(pause), 생각하고(thinking) 천천히slowly) 결정하자. 온전히 나만의 시간을 보낸 후 선택하자. (PTS)
결정에 따르는 일들을 두려워하지 말자. 결정하지 않으면 기회는 오지 않는다.
나의 결정과 선택이 기회와 연결되는지? 비용이 적게 드는지? 나와 주변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나의 선택이 지금 시기에 적합한지? 내가
원하는 선택과 결정인지?
선택과 결정의 마무리는 행동이다.
행동이 없으면 선택도 결정도 필요 없다.
인생은 B(Birth)와
D(Death) 사이의 C(Choice)이다. 처음 이 말을 들었을 땐 누군가의 말 장난정도로 생각했고 그런데 참 멋지고 딱 맞는 표현이라고 생각했다. 샤르트르의 말이라는 건 얼마 지나지 않아 알게 되었고 ‘역시 철학자는
다르다.’ 삶에 대한 통찰력이 담긴 표현있었다.
이 리뷰는 서평이벤트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