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으른 뇌에 행동 스위치를 켜라
오히라 노부타카 지음, 오정화 옮김 / 밀리언서재 / 2022년 4월
평점 :

씨앗을 심지 않은 땅에는 잡초만 자랄 뿐이다. 행동을 시작하지 않고 성과만 기대하는 사람들이 있다. 나도 마찬가지였다. 살이 찌는 다이어트를 결심하지만 어떠한 행동이나 실천도 없이 자꾸 체중을 재고 빠지기를 기대한다. 절대 안빠진다.
바로 행동하는 스위치를 되찾기 위한 책, 행동의 스위치를 켜는 법을 알려주는 책이다. 지금은 움직이지 않는
선택을 하고 있는 것이고, 일단 상황을 지켜보는 중이다. 그러다
끝난다. 상황파악이 끝났다면 움직임을 선택해야 한다.
행동을 억제하려는 뇌의 방어 본능으로 우리는 쉽게 행동하지 못한다. 측좌핵은 자극을 받으면 의욕을 고취하거나 즐거움을 느끼게 하는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된다. 도파민이 행동력의 근원이다. 행동에 착수함으로써 처음 스위치가 ‘ON’이 되는 것이다. 행동의 실마리, 행동을 위한 첫발을 내딛는 것이 포인트다.
행동의 양을 늘리고 그 이후 행동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포인트. 섣불리 행동하지 말라는 얘기도 들었는데… 적당히 생각하고 일단 행동으로
옮기고 상황을 파악하여 방향을 점검하고 바꾸면 된다.
구체적으로 우선 10초만에
할 수 있는 일부터 시험삼아 움직여보는 것. 10초 액션. 누구도
실패하지 않는다. 다음 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 뇌의 가소성으로 인해 뇌가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일단 행동하면 의욕이 뒤 따라오는 것이다.
눈에 띄도록 놓아 두는 등 미리 살짝 손을 써 두면 일을 방해하는
허들이 줄어들고 물리적 접근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행동력을 강화하는 이점이 있다.
앵커링, 장소와 업무를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무심코 미루기 쉬웠던 업무도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양치 후 스쿼트 하기와 같이 스쿼트 하는 습관을 새로 만드는 방법으로
이미 정착된 양치 습관 뒤에 살짝 덧붙인다.
일할 마음이 생기지 않으면 몸을 조금씩 움직여 보는 습관을 만들어
행동력을 이끌어 내보자.
5개의 COLUMN 항목을
두어 저자의 생각과 제안과 실천 방법을 구체적으로 이야기해준다.
행동 브레이크를 제거한다. 원인을
특정하여 방해요인을 배제한다. 목적에 집중하여 방해요인의 영향을 줄인다.
책상위의 물건의 위치를 명확하게 지정하고 한달에 한번 컴퓨터 바탕
화면을 정리한다. 불필요한 files을 일부 삭제한다. 집중력이 현격히 높아진다. 잠시 업무를 멈추었다면 해야 할 일을
메모한다. 내일 할 일을 미리 생각하고 정리해본다. 머릿속을
가시화하면 사고가 명확해진다. 결과는 통제할 수 없지만 행동은 통제할 수 있다.
결과목표가 아니라 행동목표에 집중하자.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나를 비교하여 얼마나 성장했는지 파악하면 미래의 나를 예측할 수 있다.
죽을 힘을 다해서 열심히 한 기억,
그 당시에는 마음의 소리를 솔직하게 듣고 열중하고 필사적이었던 것뿐이다.
선물을 준다는 URL, 일본어라
포기.
완전 요약 키워드 색인(p262~267)
본문 내용 중 저자가 이야기했던 35가지 용어의 내용을 설명해준다.
저자는 개으른 뇌를 깨워 행동력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37가지 행동을 제안해주고 있다. 어렵지 않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들이다. 실천하다 보면 나는 자연스럽게 움직이고 도전하고 실행하는 사람으로 변신되어 있을 게 명백하다. 배웠으면 반드시 실천한다.
이 리뷰는 서평이벤트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