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두품 아이 성무의 꿈 똑똑! 역사 동화
김영주 지음, 김다정 그림, 전국초등사회교과모임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무는 어느 면으로 보나 친구들 사이에서 가장 뛰어난 아이이다. 분명히 멋진 화랑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될 정도의 모습이다. 하지만 신분 때문에 낭도만 될 수 있다. 현재는 개인의 능력의 한계로 진출이 불가능한 자리가 있지만, 우리가 성무와 같은 상황에 놓인다면 얼마나 속상할까요? 친구들은 어려서 인지 서로의 신분으로 차별하는 일은 없었다. 그 속에서 혼자 자괴감을 느끼고 친구들에게 더 잘 난 모습으로 대장대우를 받고 싶은 성무와 진골 아이들의 문제를 성무 편에서 부드럽게 풀어주고 있던 해강이. 해강이는 성무를 진정한 친구로 생각하지만, 해강이 할아버지가 만들어 주신 공을 멀리 차 사라지게하고 진심으로 사과하지 않는 성무의 행동에 상처를 받는다. 성무는 미안하긴 했지만 자존심 때문인지 사과는 하지 않는다. 진정한 친구들 사이에 자존심을 내세우는 건 아닌데~

 

성무는 최치원을 만나 사제지간이 된다. 최치원도 육두품이지만 아찬이라는 벼슬을 얻었다. 성무의 롤모델이다. 조언과 친구들 모두의 스승이 되어 준 최치원의 도움으로 성무는 친구들과도 다시 친하게 지낼 수 있게 되었다.

 

진골 무진의 집에서 최치원의 신분제도를 거스르는 행동과 여왕을 제제해야 한다는 어른들의 회동을 엿들은 성무와 친구들은 최치원을 걱정하여 이야기를 전달한다. 최치원의 포기한 듯한 행동에 자못 실망하지만, 최치원은 성무에게 어쩔 수 없는 일도 있다. 그래도 꿈을 버리지 말고, 이루려고 노력하는 좋은 어른이 되길 바란다.”다는 이야기를 해준다.

 

최치원은 어떻게 될까요? 성무는 롤모델인 최치원처럼 당으로 유학가 빈공과에 급제하여 벼슬아치가 될까요? 궁금하면 책으로... 이번 권에 없나? 다음 권을 기다려 보는 건 어떨까요?

 

육두품? 신라시대 골품제도는 신분 체계이며 개인의 능력이나 역량과 무관하게 직업이나 삶의 모습을 포함하여 한계를 제공한다. 과거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과 미국과 유럽의 서양에서도 개인의 타고난 배경으로 결정되는 부분이 상당히 크다. 서양에는 인종차별로 야기되는 신분의 차이가 생겼다. 노예... 이민... 금수저? 흙수저?라는 말이 괜히 회자되는 것이 아니다. 제도는 없다고 하지만 엄연히 존재하는 현재의 신분 차이를 반영하고 있다.

 

이 리뷰는 몽실북클럽 서평이벤트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