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마치 비트코인
염기원 지음 / 은행나무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은 어떠해야 한다? 이런 기준이 있을까? 허구를 이야기 하는 것이고 재미를 주면 되는 글이다. 주인공의 청춘 시절 이야기가 나오니까 청춘의 기록들이다.

 

시골 출신으로 고졸 학력으로 서울에 와서 잘 버티고 사는 주인공. 같이 올라온 성진이라는 친구는 같은 직장에서도 차별을 받고 사장에게 사기를 당하고, 공장에 들어가 주야로 고생하다가 손가락이 절단되어 군 면제. 주인공은 군대 다녀오고 여러가지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벌어 놓은 돈으로 주식을 한다. 지금도 그런가? 1999~2000년 그 당시가 주식 붐이었나 보다. 내 주위에 나만 안하고 다 주식을 했으니까~ 지금도 나는 우리 사주 조금 가지고 있는 게 전부인데, 어떤 이들은  주식에 투자하려고 대출 받고 영끌한다는 얘기도 들었고 그러다 다 날려 먹은 사람 얘기는 남들의 이야기다. 주인공도 4000만원 날리고 투트랙으로 알바와 스포츠 토토경마장에서 만난 사장이 건물 관리 일을 맡겼다. 그 일은 잘하고 딴 주머니도 찬다.(슈킹?)

 

403호 여자의 자살. 고독사로 특수 청소업이 호황이라고 한다. 403호 청소를 직접하면서 부수입을 챙기려고 한다. 깔끔하게 마지막 가는 길을 정리하고 떠난 403호 여자, 여자의 일기장을 보게 된다. 튼튼이라는 이름의 아이가 있었고, 아이의 신발이 남아 있다. 얼마 되지 않는 벌이로 아이와 바티고 있었나보다. 서울에서 직장 생활을 하다 엄마가 아파 직장을 그만두고 귀향한다. 직장생활로 모아 놓은 돈으로 병원비와 생활비를 충당하고 변변한 직업 없어 글을 쓰다가 화가인 남자를 만나 결혼하고 아이를 갖는다. 403호는 암이다. 남편에 대한 일기의 글들. 신발을 전해주고 403호의 사망 소식을 전하기 위해 만나 직접들은 남자의 이야기는 좀 다르다. 동물병원 간호사를 한다 만난 고등학교 동창도 403가 연락이 되지 않아 찾아와서 주인공을 만나 소식을 듣는다.

 

403호는 치매에 걸린 엄마와 튼튼이의 간병으로 바쁘고 힘든 날들을 보낸다. 치매는 가정을 망치는 질병이고 국가가 책임져야 할 질병이라는 말이 맞다. 겪어본 사람은 안다. 그런 나라가 빨리 되길~ 튼튼이가 죽자 삶의 끈을 넣아버리는 403

 

주인공의 시선으로 바라본 세상은? 주인공=almighty. 쓸쓸한 고독사. 비트 코인도 모르고 내 인생을 이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에 비하면 무난하게 지나왔고 흘러갈 거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인지 개인적으로 인생 마치 비트 코인이라는 제목이 와 닿지는 않는다.  

 

Killing time용으로 괜찮은 이야기 이다.

 

이 리뷰는 몽실북클럽 서평이벤트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