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독에 빠진 뇌 과학자
주디스 그리셀 지음, 이한나 옮김 / 심심 / 2021년 12월
평점 :

저자는 중독을 극복한 뇌과학자이다.
저자는 중독을 치료에 심리상담사나 정신과 전문의 보다는 뇌과학자가 더 적합하다고 생각했다. 이
부분에 나도 동의한다. 근본적으로 중독이 발생하는 기전을 이해하고, 그
기전에서 작용하는 뇌의 활성화를 차단한다면 거의 완벽에 가까운 치료가 될 거라는 이론이다. 실재로 그러한가? 사람과 중독의 다양성으로 결과 또한 다양하게 나올 수 있다. 아주
창조적이고 이론적으로는 무결점이더라도 과학적으로 증명되어야 한다는 것은 양날의 검이라고 생각한다. 조작을
부르거나 탁월한 이론을 폐기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저자는 주로 약물 중독에 대해 본인의 경험과 과학적이고 의학적인
지식을 이해하기 쉽게-어려운 부분이 있는 건 사실-설명하려고
했다. 이해를 못하는 부분을 알려고 굳이 스트레스를 받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강을 건너기 위해 배를 만드는 노력을 할 것인가? 상류로 올라가
걸어서 건널 방법을 찾을 것인가? 선택의 몫이지만 강을 건넌다는 목적 달성의 효율면에서는 후자가 탁월하다. 약에 대한 설명은 호기심을 자극한다. 대마초는 예술인들 사이에선
적당히 사용되고 그 결과 창조적이고 아름다운 예술 행위들이 가능하다면 괜찮을 듯하다는 오판도 할 수 있다. 약과
독의 차이인가?
중독의 극복은 본인의 의자만으로 불가능하다. 하지만 의지가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중독에 빠지는 사람들은
본인은 중독에 빠지지 않을 것이며 쉽게 극복할 수 있다고 자신하지만 절대로 되지 않는다. 시스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종의 범죄자, 어떻게 갱생을 돕느냐? 미국과 한국은 너무 다르다. 다양성과 기회라는 두 단어가 가진 힘이
대단하다. 한민족으로 구성된 대한민국의 폐쇄성으로는 불가능한 일들이 많다.
약물을 포함하여 도박 등의 중독을 경험한 사람들이 느끼는 감정은? 쾌감은 행위를 하기 전 기대감에서 오는 것이다. 행위 후에는 약물에서
깨어나는 부작용과 바닥까지 추락한 듯한 기분, 자신의 행위에 대한 죄책감에 사로 잡히게 된다. 쾌감을 추구하는 것과 후에 오는 여러 감정들 상황들을 회피하고 싶은 심리가 중독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단계별로 대안이 있다면 충분히 중독을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As is와 To be를 분석하고 그 사이 gaps을 채우면 되는데~ 방법은 중요하지 않다. 중독으로 발생하는 여러 비용들을 줄이면 다른 쪽에서 사용 가능하니까 사회적인 이점이 충분하고 개인에게 맡기지
말고 사회가 나서서 치료하고 관리해야 하는 이유이다. 중독 쾌감에 dopamine의
역할은 누구나 동의하는 사실이다. 뇌과학이 증명하고 그에 필요한 치료 방법을 개발하고 덧붙여나가면 정복할
수 있는 중독.
저자의 경험이 바탕이 되는 책은 현실적이고 사실적이다. 중독을 극복하고자 노력하는 분들, 특히 약물 중독을 겪는 분들과
그 주변에서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고 싶은 분들이 읽으면 많은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이 리뷰는 몽실북클럽 서평이벤트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