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타버스란 무엇인가
이인화 지음 / 스토리프렌즈 / 2021년 10월
평점 :

메타버스? 메타플레이스? 멀티버스?
메타라는 단어는? 최근
들어, 아니 어쩜 작년부터 인 거 같은데 자주 듣게 되면서 그 의미가 궁금했다.. 궁금하지만 적극적으로 알아보거나 하지 않았고, 궁금하지만 아무런
행동없이 지내다가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정독으로 꼼꼼이 읽었지만 어렵다.
처음 들은 메타는 메타인지의 메타였던 거 같아요.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메타인지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이야기였다. 그때도
제목만 듣고 본 내용은 듣지 않았다. 직관이 어렵다라고 신호를 보내 거부하는 자세를 가졌던 거 같다. 초등학생 코딩 교육과 같은 느낌. 한참 붐이고 아직도 붐인지는 모르겠지만
아이들에게 필요한지 알아보기 위해 제가 먼저 관련 서적을 읽어봤는데 어려웠다. 세대가 다르고 다른 환경에서
성장한 아이들은 잘 이해하는 지 모르겠지만~ 별로 소득이 없는 경험이었다. 이유를 생각해보니? 이론에 치우친 접근때문이었다. 실재 현실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고 직접 활용해 볼 수 있는 과정을 거쳤다면 다른 느낌이었을 거 같다고 생각한다. 로블록스에서 게임을 하면서 로벅스를 벌어봐야 진정성 있는 이해가 가능할 것 같다.
메타와 verse가 합쳐진
말이라고 합니다. 초월하다+우주(universe)라는 의미죠. 인터넷 다음으로 등장한 네트워크 세계지만
꼭 가상에만 존재하는 건 아니고 현실과도 연결된 새로운 세계라고 이해했어요.(생활형 가상세계와 몰입형
가상세계의 혼종) 온갖 사업을 불러모으고 온갖 야심이 불타오르게 하는 세계. 킬러들이 지배했던 게임의 세계는 크리에이터가 지배하는 메타버스로 전환되고 있다. 트윈 세대와 잼민이라는 단어도 새롭게 알게 되었다.
“가장 약한 사람에게
좋은 것이 모두에게 좋습니다.”(p68)- 가장 문명화된 매체로서 메타버스가 우리 사회를 향해 하고
있는 말.
메타버스는 이미 우리의 곁으로 성큼 다가왔다. 나 같이 나이가 많아 배우고 익혀 활용하기 어려운 세대도 쉽게 배울 수 있은 메타버스 학교가 생길 것이다. 가장 기대 되는 메타버스의 학교. 가장 평등해야 할 분야가 교육이라고
생각한다. 게다가 개인 맞춤형 교육이 가능하다면 뒤떨어져서 포기하는 앙리 없이 전부(?) 배운 아이들이 될 것이고 배운 아이들은 평등한 기회를 얻을 것이다. 이런
메타버스에서 아바타와 인공지능의 역할이 중요하며 실현 가능성을 높여줄 것이다.
저자의 설명은 탁월한데 나의 이해력의 범위가 좁았다. 1차 읽는 정독으로 맛보기(?), 한번 더 읽으면 이해의 폭이 넓어질
거 같다는 기대를 하게된다.
메타버스에 대해 그것이 잘 알고 싶은 분들에게 적극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이 리뷰는 몽실북클럽 서평이벤트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