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팀플레이 ㅣ 트리플 6
조우리 지음 / 자음과모음 / 2021년 7월
평점 :

팀플레이? 이 글들 속에
녹여서 저자가 이야기 하고 싶은 팀플레이의 의미는 무얼까? 3개의 단편.
언니의 일, 팀플레이, 우산의 내력, 또
하나의 에세이로 구성된 책이구요.
두께가 얇아 쉽게 접근하지만
생각을 많이 하게 되는 내용인 것 같아요.
언니의 일? 세명 사이에서 벌어진 과거와 현재의 이야기 인데… 작은 출판사에서
벌어진 일들이 화자의 기억을 바탕으로 진행됩니다. 기억이 왜곡된 걸까요? 영국 유학을 가게 되었다고 오랜만에 만난 셋. 그 셋 사이에는 어떤
일들이 있었던 걸까요? 본인이 한 말을 오차장이 했다고 기억하던 화자.
영국 유학을 가긴 한 걸까요? 왜 모르는 척을 했을까? 또
왜 그렇게 화를 내는지는… 곰곰히 생각해봐도 무슨 일이 있었겠다는 추측만 가능하네요. 다시 읽어 보면 알 수있을까요?
팀플레이. 책 제목과 같은 제목을 단 글. 창작, 시나리오를 썼었고 인터넷 신문의 기자인 화자와 팀. 전염병이 창궐하는
시기, 지금 현실을 반영한 듯하네요. 과거에 썼던 시나리오를
참고(?)하여 졸업 작품을 한 언니, 또 표절(?)한 교수가 전염병으로 죽게 되자 모든 사실들이 감취지고 교수는 미화되고 있다. 그 진실을 밝혀달라는 부탁을 받고 인터뷰를 하려고 하지만 신통찮다. 사실을
폭로하는 기사를 쓰고 인터넷에 올린다.
우산의 내력. 비가 올 때 어딘가에서 주인이 없을 거 같은 우산을 발견한다면 누구나 쓰려고 할 것이다. 본인의 신입 시절을 거울 삼아 멘토가 되어 멘티를 잘 이끌고자 하는 화자. 엉뚱하게
실수를 연발하는 어린 사원을 잘 이끌어 준다. 나도 그런 멘토가 되어야 겠다.
어디든 팀은 있다. 팀이라고 규정짓지 않더라도 둘 이상이 모이면 팀. 다양한 사회생활을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아무래도 직장일 것이다. 직장에서의 팀. 선배
동료 후배 상사로 구성된 조직이지만 팀이라 생각하는 단위는 더 작을 수 있다. 팀은 공통된 것이 필요하다. 목표를 포함한 교집합이 많을수록 끈끈한 팀이 될 수 있다. 우수하고
지속적인 성과를 낼 수 있다. 같은 팀이라고 생각했던 사람이 걸림돌로 작용할 때도 있다. 팀이라면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해서는 안된다는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
이 리뷰는 몽실북클럽 서평이벤트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