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관찰 - 멀리할 사람인가 가까이할 사람인가?
구라하시 마야코 지음, 황세정 옮김 / 쌤앤파커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관찰]

제목은 지극히 호기심을 자극한다.

약간의 거부감은 느끼는 사람도 있을 듯하다.

주도자, 관찰자의 입장에서는 나에게 해가 될 것이 없고 저자의 이야기 대로 득이 많다.

피관찰자의 입장이 되는 것에는 거부감이 생길 수 있다.

나 조차도 피관찰자가 되고 저자의 설명과 같이 관찰자이 누군가의 주관적인 입장으로 판단되고 정형화된다면 거부감이 생길 것이다.

아무리 저자와 같이 성격 분석 전문가라는 학문적인 배경을 충분히 이해하는 사람에 의한 것이라도~

내가 원하는 것이 아닌 상황이니까.

그럼 관종(關種)은 뭘까? 좋은 의미로 쓰이는 단어는 아니다.

관찰자의 입장은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질 것이다. 대상에 대한 정보와 그에 따른 나의 행동의 오류가 줄어들 수 있다는 장점때문이기도 하지만 훔쳐보기에 익숙하고 그 행위에 대한 죄책감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관음증(觀淫症).

또 하나 타인을 관찰하면서 나 스스로를 돌아볼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의견에는 공감한다.

방법과 정도의 차이는 있을 것이다.

일치 시킨다면 나를 객관화시켜 자기합리화나 내로남불의 행동은 하지 않을 수 있다.

객관화된 옳바른 삶이 최선인가? 그런 문제가 아니라 나와 관계를 맺고 있는 타인을 이해하고 그 관계를 유지하거나 정리하여, 인간관계로 인한 불행을 피하는 것이다.

혼자 맺은 인간관계, 한 손으로 치는 박수가 없듯이 문제가 있다면 그 원인은 피아(彼我)에서 찾아야 하고, 그 해답도 피아에서 찾아야 한다.

사람들의 성향을 정리해주고 있고, 에니어그램으로 9가지 성격 유형으로 분류하고 그 유형에 따른 특징을 소개한다. 유형별 성격 및 상황 대처법을 자세하게 알려준다.

나의 유형은?

혈액형별 성향을 신뢰하는 사람들이 있다. 자신의 혈액형의 성향에 대한 설명을 듣고 수긍의 정도는? 관련없음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자신이 옳다고 믿는 쪽으로 근거를 해석하기 때문이다.

16가지 유형으로 나누는 MBTI. 혈액형 네 가지 보다는 더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지나친 일반화로 틀에 박힌 해석을 하려는 우(), 선입견과 편견에 빠지는 것을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 책은 정독(精讀)을 요구한다.

지피지기백전불태(知彼知己白戰不殆), 타인을 알고 나를 알면?

타인을 잘 알아가고-아무나 알아보는 게 아니라, 나에게 영향을 미치는 타인- 그 타인과 연결되어 관계를 맺고 있는 자신도 돌아본다면, 더 좋은 인간관계를 맺고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리뷰는 몽실북클럽 서평이벤트의 소개로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