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로운 가난이 온다 - 뒤에 남겨진 / 우리들을 위한 / 철학 수업
김만권 지음 / 혜다 / 2021년 1월
평점 :

이미 변한 환경, 지금
변하고 있는 환경에서 발생되는 가난이 새로운 가난.
원인은? 새로운 환경. 우리가 그동안 익숙하게 지내던 것과는 다른 환경, 그런 환경을 만들어내는
원인의 다양성과 급진성으로 미처 대응하지 못한 결과물이다. 가난.
세계화. 자원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환경의 파괴, 보다 싼 노동력을 제공하는 지역에 대한 노동의 착취를 통한 제조업의 대량생산과
대량소비, 지구가 하나의 사이클로 움직이고 부자와 빈자가 발생하고 고착화되어 간다.
노동의 대가로 살아가던 사람들의 노동이 로봇이나 AI로 대체되면서 또 다른 헤어날 수 없는 가난에 처한 사람들.
이런 환경에 코로나19같은
판데믹은 빈익빈 부익부를 가속화시킨다. 물론 판데믹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층도 있다. 과연 영향이 없을까? 적을까? 기회의
박탈은 어떤 결과를 초래할 지 모른다. 지구상의 모든 사람들이 영향을 받고 있다.
코로나19에 대한 백신과
치료제를 공공재로 활용하여 누구나 그 효과를 누릴 수 있게 하자는 얘기가 나왔었지만 무색하다. 여기엔
돈과 권력이 작용한다. 역시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은 뒤로 밀린다. 백신
여권? 새로운 문명이 생긴다. 가난한 사람, 혜택에서 뒤로 밀리는 사람은 크고 다양한 위험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 돈의
노예가 되고 권력의 하인이 되어 살아가야 할까?
시대가 변하고 맛있는 음식은 아니더라도 굶지는 않는 것 같은 현재. 과연 그런가? 아무리 개선되고 발달된 복지 정책이 펼쳐지더라도 굶는
사람들이 있다. 굶어 죽는 사람도 있다. 급변. 가족의 해체.
비대면의 시대에서 더욱 소외되는 사람들에 대한 우리의 자세는?
민주주의 자본주의의 폐해라고 평가하고 사회주의 공산주의를 따라야
할까?
그렇진 않다. 그럼? 새로운 분배 기준, 좋은 세상 만들기.
어떤 이데올로기도 초월하는 인본주의, 경천애인(敬天愛人)
인간다운 삶의 전제 조건으로 디지털 시민권, 로봇세, 구글세, 기본 소득, 기초
자본, 전국민 고용보험을 제안해주고 있다. 이런 일들을 평균연령
50이상, 부자, 일
안하는 대한민국 국회의원들의 입법권으로 가능할까? 철밥통 공무원들의 행정으로 가능할까? 불가능하다. 탁상공론에서 벗어나 어느 것 하나라도 우선 시행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고를 활용한 재난 지원금을 지급하고 받아본 경험이 있는 지금, 가장 먼저 논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것이 기본소득이라고 생각한다. 토론하고
정책을 만들려면 제대로 알고 가자. 이미 있는 복지 정책과는 분명히 그 태생부터 다르다. 관련 있으신 분들은 열심히 공부하고 생각하고 노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리뷰는 몽실북클럽 서평이벤트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