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형 -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작 ㅣ 책고래마을 35
박예분 지음, 김태란 그림 / 책고래 / 2020년 7월
평점 :

많지 않은 글 밥
수묵화 같이 은은한 그림
화려하지 않아
요즘 아이들의 시선을 확 잡아 끌진 못하는 거 같다.
내용을 보기 전엔~
영석이는
전쟁으로 형을 잃었다.
한국 전쟁을 겪으면서 수 많은 영석이가 생겼다.
20살의 젊은 형은 전쟁 속에서 무섭고,가족과 고향을 그리워했다.
나라를 지킨 영웅이다.
이 말보다는 가족을 그리워하고
고향으로 돌아가기 위해 목숨을 바친 우리의 형들, 오빠들이다.
너무 감사합니다.
나는 형이 없다.
바로 위의 누나,아래
여동생 둘…
외아들이라 대우받고 자랐을 것이다?아닙니다.
영석이처럼 형이 있는 친구들이 부러웠다.
형들이 때리기도 하지만~
삼형제를 둔 아버지로
전과는 다른 세상을 사는 삼형제가
서로 우애있게 살아가길 바란다.
나는(영석이)10살,형은 12살,동생은 네
살
자다가 오줌싸고
형(영만이)은 나를 다독여
주고 비밀을 잘 지켜준다.
받아쓰기 20점 – 글을
가르쳐주는 친절한 선생님
물에 빠지면 구해주고(큰산 같은 형)
썰매를 만들어 주고(마법사 같은 형)
형이 만들어 준 딱지는 천하무적이다.
멀리 떠나는 형 – 군대에 감.
동생(영덕이)과 놀아준다
여동생(순덕)이 생겼다.
100일 떡을 집집마다 돌렸다.
100명에게 나누어 주어야 명이 길다.
전쟁이 났다는 소문을 듣고 군대간 형이 걱정이다
피난길에 올랐다.
나는 동생을 꼭 데리고 다닌다.
‘차라리 집에 가서 죽는 것이 낫겠다.’
집에 돌아와 보니 폭격 맞아 망가지고,
누렁이,돼지,닭,토끼는 없었다.
인민군과 한편이 된
싸늘하고 무서운 표정의 사람들이
군인이 된형얘기를 하면서 툭하면 죽창을 들고 찾아와 위협했다.
그때 마다 논,밭은 내놓았다.
인민군은
‘군인가족을 살려 두는 것 만도 감사해라.’라며
겨우 추수한 쌀 다섯 가마 마저 가져간다.
낮에는 군인과 경찰이
밤에는 인민군이 마을로 들어왔다.
다리를 저는 군인이 찾아와
형이 적은 비망록을 전해주었다.
‘우리 형은 지금 어떤 세상에서 살고 있을까요?’
어머니 아버지를 부르며 한자한자 쓴 비망록,
반복해서 쓴 고향 주소와 동생들의 이름
이 리뷰는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 서평 이벤트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