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독 그리고 도파민
이재원 지음 / 찜커뮤니케이션 / 2016년 9월
평점 :
절판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29/pimg_7304272252463667.jpg)
도파민이 부족하면 불행하다.
도피민에 의존하면 중독이 된다.
물질 하나로 인한 결과는 너무나도 다양하다.
호르몬이라서~
어려운 뇌과학과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에 대한 내용을 저자의 전문지식으로 자세히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는책이다.
7가지 예를 들어 준 2장부터
읽어도 될 듯하다.
좋은
도파민으로 행복한 시간을 만들어 가야겠다. 그렇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느렸다. 겸손하게 만들었다. 인내력, 양보하는 마음을 얻었다.
나는 행복한 사람이다, 그래서 나는 도파민이 부족하지 않다.
행복호르몬인 도파민은 윈시뇌의 본능에서 나와 이성에게(신피질) 전달되고 그로 인해 사람은 쾌감을 경험하게 된다.
어른이 될수록 즉각보상 보다 지연보상에 더 가치를 두고 자신을 개발한다.
도파민 – 엔도르핀 – 습관화
보상회로 vs 고통 회로
스트레스는 도파민 부족을 만든다. 전두엽 기능이 저하되고 우울감, 충동적 행동, 분노조절의 어려움,
집중력의 저하, 대인관계의 어려움 같은 문제를 만들어낸다.
신피질에 문제해결 회로가 있다.
도파민은 행동, 습관과 같은 자극추구에 관련이 있는 반면, 세로토닌은 활력, 불안, 변화하는
환겨에서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자극 추구 성향 – 도파민 부족에 취약한 사람
뇌를 건강하게 하는 좋은 도파민(지연보상) vs 나쁜 도파민(즉각보상)
보상 결핍 증후군 – 도파민 부족 지속, 충동이 강해지고 ADHD와 유사한 증상, 중독에 빠지기 쉽고 강박과 집착이 심해지며 대인관계가 점점 어려워 외톨이가 되어 혼자 지내려고 하게 된다. – 소확행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노력을 해야 한다.
자극 추구 성향 – 도파민 의존성 –
보상갈망 – 중독
위험 회피 성향 – 세로토닌 의존성 – 해소갈망 – 중독
테스토스테론과 옥시토시의 밸런스 – 안전하고 좋은 도파민 공급
과유불급
항상 1등을 했던 사람은 도파민 부족에 시달리기 쉽다.
자녀를 지나치게 보호하는 것은 자녀에게 도파민 부족을 초래할 수 있다. 의존적이
도며 보상결핍에 시달리게 된다. 스스로 할 수 있을 때까지 참고 기다려야 한다.
TMI – 도파민 부족을 일으킬 수 있다.
사회가 발전할수록 도파민 부족 – 자신의 도파민 상태를 관리해야 하는
시대
도파민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주관적인 증상과 뇌기능 이상을 관찰하여 판단할 수 있다. 무쾌감증, 기질 및 성격검사, 정량뇌파
검사 등 다양한 검사로 다각적으로 분석
-
도파민이 부족하면 하고 싶은 것이 전혀 없다. 무기력감
-
성적흥분이 유일한 도파민 대리만족
-
잠자는 것을 방해하는 도파민
-
조울병 같은 도파민 결핍
-
집중력 장애를 만드는 도파민 부족
-
도파민 부족할 때 대리만족을 주는 게임
-
도파민이 부족한 가족이야기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29/pimg_730427225246366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