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주얼 씽킹 - 일 잘하는 사람들이 쓰는 간단한 표현의 기술
빌레민 브란트 지음, 홍주연 옮김 / 북센스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걸 기억해야 하나요 당연하지.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비주얼이 갖는 장점.

말을 기억하는 것과 그림을 기억하는 것은 방식이 다른 거 같다.

이해도 부분에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고

그림 하나 그리고 이해해라오해할 수 있다.

그림 + 스토리탤링 – 이해도잘되고 기억도 오래간다.

 – 지루하거나 이해는 되지만 기억이 오래 안 갈 수 있다.

비주얼 씽킹을 통한 공유로 성공적인 협업성과 관리를 할 수 있다.

생소한 분야이지만 이 책을 자주 읽고 활용해 보려고 한다.

비주얼 씽킹이 요구되는 비즈니스 상황이라는 말나도 직장인이니까나에게도 해당되는 것이다.

그림을 잘 그릴 필요가 없다.

불완전한 그림이 더 잘 기억난다.

이 말에 용기를 얻어봅니다.

뻔뻔함은 실행하면서 차근차근 쌓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가 이해한 바는 내가 표현하려는 내용을 간단한 그림으로 표현하고스토리를붙이는 것이 비주얼 씽킹이다.

그 간단한 그림은 창조할 수도 있지만초심자들은 구글 이미지이모티콘 등을 잘 활용하면 된다.

간단한 그림이 갖는 의미를 공유할 수 있으면 성공이다.

 

관심이 많이 있는 내용은 고성과 팀을 만드는 내용이다.

리더로 성과 관리, KPI, feedback에 대한 교육도 받았는데… 이부분의 내용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5장으로 구성

업무에 날개를 달아주는 힘비주얼 씽킹

업무를 쓰지 말고 그리자기본기와 가이드라인

몰입 시키는 힘시각적 스토리텔링 템플릿 만들기

비즈니스 현장에서 비주얼 씽킹 적용하기

계속 앞으로끝은 곧 시작이다.

 

시각화를 통해서 생각을 정확히 표현하고 설명하는 일명료하게 정리하고설명하는 일.

개념을 시각화하는 힘.

상상력과 창의력의 표현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발맞추어야 한다애자일 스크럼린 스타트업디자인 씽킹.

협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높은 수준의 시각화 기술이 필요하다.

용기와 약간의 뻔뻔함이 요구된다그린 그림들로 시각적 스토리를 만드는방법

그림을 그리면?

생각이 정리된다.

패턴과 연결고리가 명확해 진다.

새로운 관점들이 열린다/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수 있다/사람들의 솔직한 의견을 들을 수 있다.

회의 내용을 요약할 수 있다.

정보를 체계화할 수 있다.

내용이 간단해 진다.

지속적이 개선이 가능하다.

사소하고 불필요한 디테일에 집중하지 않게 된다.

주제에 접근하기 쉬워진다.

 

당장우리팀에 미치는 영향

 

과감하게 그리자.

중요한건 그림을 통한 소통이다.

자신의 스토리를 시각적으로 정확하게 표현하자.

시각적으로 사고하자.

우리는 보통 머리로 생각을 시작하지만 손으로 먼저 시작하고 그 다음에 머리를 사용하라는 내용의 책을 읽은 적이있다비슷하지만 다른 의미인 거 같다.

 

다양한 색과 굵기의 펜을 사용한다.

입체적으로 만들고 중요한 요소들에 색을 넣자.

이모티콘을활용하자.

상호작용을 표현하자 – 말풍선 안에 그림이나 글로 표현색은 강조할 요소에만 사용하자.

다양한 자세 그리기 – 먼저 상체부터 그리자.

동료와 고객 그리기 – 관리자는 넥타이로 표현하자고객의 왕관은 제일 나중에 그리자.

타깃 고객을 캐릭터화하기.

화살표 – 방향과 변화 표현.

키워드 강조 – 헤더와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다.

말의 이미지와 결합한 말장난을 시도해본다.

시각적 스토리를 돋보이게 하는 법 : 테두리 활용 – 제목 주변에 윤곽선을 그리고 그림자를 넣는다.

 

기본적인 아이콘과 은유를 만드는 근사한 이미지 – 구글 이미지굵은 선과 가는 선을섞어서 사용하면 더 근사해진다.

다양한이미지 연습(p044~049)

 

한 장의 그림의 천 마디 말을 대신한다게다가 무척 간단하다.

 

창의성과 신념열정으로 가득한 시각 정보를 제시하여 듣는 사람의마음을 두드리자.

 

크리에이티브 사이클의 6단계

이해

목표 ()정의

관념화

시각화 – 프리젠테이션 보드참여보드 활용포스트잇에 그림을 기려 활용하면 프리젠테이션이 더 생생해진다최근에 추적이나 조사의 내용을 보드에 포스트잇신문 기사이름선 등으로 정리하는 장면이 드라마나 영화에 자주 등장한다과연이런 이유였다시각화하면얻을 수 있는 장점들을 활용한 방법으로 비주얼 씽킹.

공유

검토

 

스토리템플릿을 제시 해준다.(p060~073)

 

트렌드 수집과 분석(as is) → 회사의 미래에 대한 아이디어(to be), 고무적인 대화 → 비전

내 조직의 목적 찾기

강점과 개선점들을 별도의 보드에 정리한다.

어떻게 느끼는가?(심장어떻게생각하는가?(머리)

과거에 머물지 않기 – 생명의 나무.

사용자 스토리맵 만들기.

회의를 빨리 효율적으로 끝내고 싶을 때스탠드업 실시 – 다른 층위와 환경 간에 정보를 공유하는 데도 효과적이다.

 

칸반보드– 팀의 업무와 과제 시각화여러가지 색의 포스트잇으로과제를 구분하는 게 좋다.

MoSCoW – must have(없으면 안되는 것), should have(중요하지만 꼭 필요하진 않은 것), couldhave(있으면 좋은 것), would have(중요하지 않은 것) : 어렵다누굴 기준으로고객~

들어가는 노력은 티셔츠 사이즈로~

 

번다운차트 – 업무 진척도 파악하기(x축은 작업시간, y축은 남아 있는 작업)

 

결정 – 불확실성/확실성

 

고객 페르소나

고객 여정 지도 만들기(행동감정/생각)

경쟁 전망 분석

 

팀원의 아이디어 끌어내기 – 카드맵 만들기종이 프로토타입 만들기(제대로 실험하기?)

젠투표법– 침묵속에 아이디어를 검토하고 투표하는 방법다른 사람의의견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누가언제무엇을계속 질문하고 확인한다지속적인 개선.

 

협업

물고기뼈 도표 – 머리 속 아이디어를모두 적는다.

지속적 개선 상황 추적 보드

 

프로토타입/MVP 보드 – 완성품에서 사람들은 결점만 찾아내지만프로토타입에서는 가능성만본다.

 

팀빌딩

누가애자일 조직에서는 모든 팀원이 팀 빌딩의 책임자이다팀의 발전을 주도적으로 이끄는 팀은 고성과 팀이 될 가능성이 높다.

언제반복적인 활동이다팀회고(retrospective)와 팀 개발

무엇을선호도 차이에 대처할 방법 찾기서로 알아가고 각자의 성격 이해하기팀성과에 대한 개인별 feedback 공유팀 목표상황을 그려보고 팀 성과를 높일 방법의논하기.

서로에게 동기 부여해줄 수 있는 다양한 요인 파악

5, DISC 검사

 

Shut up and Draw

불완전한 그림이 오히려 기억에 오래 남는다.

가장 중요한 것은 소통이다.

 

이 리뷰는 책카페 책과콩나무 서평이벤트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